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과 예보는 지난 5일 예보 보유 우리금융 잔여지분 약 936만주(지분율 약 1.2%)의 주식 양수도에 관한 기본 협약을 체결했다.
앞서 정부는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금융회사 구조조정 과정에서 우리금융에 12조8000억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했고, 지분매각 등으로 총 11조1000억원을 회수했다. 나머지 지분은 지난 2020년부터 매각할 계획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한 주가 급락과 국내외 투자자 대상 투자 설명회 개최 곤란 등 시장 불확실성 확대로 매각을 개시하지 못했다. 정부는 2019년 6월 우리금융 잔여 지분(당시 17.25%)을 모두 매각하고 완전 민영화를 추진한다는 로드맵을 발표한 바 있다.
이후 2021년 우리금융 주가가 회복세를 보이는 등 우호적인 매각 여건이 조성되자 정부는 잔여 지분매각 작업에 나섰고 그해 말 잔여 지분 15.13% 가운데 9.33%를 민간 주주 5곳에 매각했다. 당시 예보의 지분율은 5.80%로 축소돼 최대 주주 지위를 상실하면서 우리금융은 사실상 완전 민영화를 달성했다. 예보 잔여 지분 중 1%를 매수한 우리사주조합은 9.80%의 지분율로 최대 주주에 올랐다.
이번 협약은 분기 배당 도입, 자사주 매입·소각 결의 등 우리금융의 주주친화 정책에 대한 의지와 예보의 공적자금 조기 회수 기조가 맞아떨어진 결과다. 우리금융 측은 “예보는 우리금융 잔여지분 매각을 차질 없이 이행해 25년에 걸친 우리금융 민영화를 마무리하는 한편 우리금융은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주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고 밝혔다.
우리금융은 이번 협약으로 오버행 이슈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매입으로 오버행 리스크가 해소됐으며 민영화 완료로 인한 경영상의 자율성 확보를 토대로 이전보다 적극적인 인수합병(M&A)과, 주주환원 정책을 기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협약은 임종룡 회장이 금융위원장 재직 시절 시작한 우리금융 민영화를 우리금융 수장으로 돌아와 마무리한다는 의미도 있다. 예보는 지난 2016년 말 우리은행과 체결한 경영 정상화 이행 약정을 해제하며 사실상 경영에서 손을 뗐는데, 이를 주도한 사람이 당시 금융위원장이었던 임 회장이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