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앞서 두산로보틱스는 지난 11~15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수요예측에서 약 63조원의 참여금액이 몰렸고 272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어 21일, 22일 이틀간 진행한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청약에서는 경쟁률 524.05대1을 기록했고 33조원이 넘는 증거금을 모았다.
이같이 IPO를 성공적으로 마친 두산로보틱스는 내달 5일 유가증권시장에 입성할 예정이며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은 1조6853억원이다. 이에 투자자들은 상장 첫날 ‘따따블’ 성공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 6월 공모주의 상장 당일 가격 제한 폭을 60~400%까지 늘렸지만, 아직 ‘따따블’에 성공한 사례는 나오지 않았다. 두산로보틱스의 공모가는 2만6000원으로 상장 첫날 주가가 400% 뛴다면 10만4000원까지 오를 수 있으며 시가총액도 6조원을 넘어선다. 이는 모기업인 두산(대표 박정원닫기


이어 “두산로보틱스는 아직까지 매출액이 고정비와 판관비를 커버하고 있지 못하지만, 협동 로봇 시장의 빠른 성장·침투율을 감안할 때 이르면 2024년에 영업이익 흑자전환이 가능할 전망”이라며 2030년에는 매출 7663억원, 영업이익 2133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두산로보틱스의 IPO 흥행으로 시장의 관심은 또 다른 대어급 기업인 SGI서울보증(대표 유광열닫기

지난달 말 상장 예비 심사를 통과한 SGI서울보증은 이달 12일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공모 절차에 돌입했으며 오는 11월 3일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SGI서울보증은 오는 10월 13~19일까지 수요예측 진행 후 25, 26일에 일반청약을 실시할 예정이다. 공모가 희망 밴드는 3만9500~5만1800원이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경우 한국거래소(이사장 손병두닫기

최유준 신한투자증권(대표 김상태) 연구원은 “7월 이후 증시 대기 자금이 늘어났으며 8월 들어서는 부동자금의 성격이 강해졌는데, 이는 금리 추가 상승에 대한 전망이 작용하고 주식시장 전반 모멘텀이 저하돼 관망 심리가 강해졌기 때문”이라면서 “늘어난 부동자금은 대외 불확실성으로 비교적 확보된 수익이라는 인식이 있는 공모주 투자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전한신 기자 pocha@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