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장 공정이 빠른 GTX-A 노선은 내년 조기 개통을, GTX-C 노선은 연내착공을 목표로 하는 등 구체적인 계획들이 속속 선을 보이고 있다.
당정은 지난 23일 내년도 예산안에 인천발(發) KTX 건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A 노선 조기 개통 등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간사인 송언석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2024년도 예산안 관련 당정협의회 후 브리핑에서 "인천시는 인천발 KTX 건설, 경기도는 GTX-A 노선 조기 개통을 반영하기로 했다"고 소개했다.
이어서 29일 발표된 구체적인 예산안에서 수도권 광역철도(GTX)의 적기 개통을 위한 예산 7247억원이 편성된 것이 확인됐다. 노선별로는 ▲GTX-A(2024년 개통) 1805억원 ▲GTX-B(2030년 개통) 3562억원 ▲GTX-C(2028년 개통) 1880억원 등이 책정됐다.
지난해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GTX 노선의 운임비는 10km 이하까지는 2850원의 기본요금을, 10㎞ 초과부터는 5㎞당 250원 거리요금을 더 내는 식이 제안됐다. 이를 반영하면 일산 대화역에서 삼성역까지 편도로 약 4350원대의 요금이 책정될 수 있다.
변수는 최근 오르기 시작한 대중교통 요금이다. 인건비와 유류비 등 물가가 치솟으면서, 시내버스를 비롯한 대중교통들의 요금 역시 올해 들어 인상됐다. 지금의 물가 상승 기조가 이어질 경우 당초 제안됐던 GTX 요금이 더욱 올라가 편도 5000원 이상의 운임이 나올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또 다른 화두는 GTX의 환승 가능 여부다. 앞서 정부는 GTX를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에 포함하겠다고 밝혔고, GTX 노선 간 환승은 무료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원희룡닫기

다만 지자체와의 협의가 원만하게 이뤄지지 않을 경우, 환승 과정에서 추가 요금이 발생할 가능성도 남아있다. 이미 서울 대중교통 상당수가 수조 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점도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서울교통공사의 누적 적자는 17조6000억원 규모, 운수업계의 누적 부채는 8900억원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에 따르면 승객 한 명당 평균 706.5원(지하철 755원, 버스 658원)의 손해를 보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에 서울시는 최근 물가대책위원회를 열고 버스 기본요금은 8월부터 300원, 지하철 요금은 10월부터 150원 올리기로 했다.
철도업계 사정에 밝은 한 전문가는 “건설 필수자재값이 오르면서 공사비도 치솟은 상황이라 건설업계의 부채도 고려를 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운영사와 건설사의 신경전도 발생할 수 있어 정부의 조율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진단하는 한편, “윤석열정부의 건전재정 기조와 GTX 요금 책정이 따로 가는 길이 없도록 세밀한 조율이 있어야 하는데, 정부가 치적에만 초점을 맞춘 급조된 사업을 밀어붙이지 않아야 할 것”이라는 생각을 밝혔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