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당국은 보험계약마진(CSM) 산출 위해 활용되는 계리적 가정을 보험사들이 낙관적으로 산출했다는 우려가 제기되자 지난달 말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CSM은 보험계약으로 발생한 미실현이익으로 계약 시점 보험부채로 인식하며 계약 기간 동안 상각해 이익으로 반영한다.
현대해상은 올 1분기 별도기준 순이익이 3336억원으로 전년 동기 3457억원 대비 3.5% 축소됐다. 동기간 투자손익이 1840억원, 1230억원으로 49.6% 증가했으나 일반보험에서 일부 고액 사고 건 등이 발생하며 보험손익이 2590억원, 3700억원으로 30.1% 축소돼서다.
하지만 올 1분기 현대해상의 CSM은 8조9209억원으로 전년 말 8조8281억원 대비 928억원 증가했다. 동기간 전체 보험부채에서 RA가 차지하는 비중도 동기간 각각 동일한 5.9%로 집계됐다. 즉 두 기간 모두 CSM 산출 기준을 동일하게 정립했다는 뜻이다.
IFRS17 도입으로 보험부채는 보험부채는 CSM, RA, 최선추정부채(BEL) 등으로 구성된다. BEL은 간단히 말해 미래에 지급될 것으로 예상되는 보험금의 현재가치를 뜻하며 RA는 추정치인 BEL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추가 적립금(부채)이다.
특히 현대차증권은 올 2분기 현대해상 실적도 변동성이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이홍재 연구원은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유가증권(FVPL) 매매평가익 축소로 다소 후퇴하겠지만,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80% 미만으로 관리되고 있다”며 “업계 법인보험대리점(GA) 4~5월 월평균 인보험 신계약이 전분기 대비 0.3% 감소했으나 현대해상은 1.4% 증가했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당국이 발표한 계리적 가정 가이드라인을 살펴보면 CSM 산출 시 경험통계 등 객관적인 통계 활용을 통한 보험료 산출 방식 일관성 유지, RA 상각 시 기말‧기시 시점의 기초자료 동일 사용 등이 포함됐다.
김형일 기자 ktripod4@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