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CJ제일제당 없어도 잘되네?

특히 오랜 기간 빛을 보지 못한 무수한 중소·중견 식품 기업들이 가성비와 품질로 무장한 좋은 상품을 늘린 점이 핵심 원동력을 성장 배경으로 꼽았다. 지역 곳곳의 중소·중견 식품 제조사들이 가성비와 품질을 갖춘 식품 판매를 늘렸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쿠팡이 강조한 것은 ‘로켓 물류 인프라’다. 전국 30개 지역에 100개 이상 물류 인프라를 바탕으로 익일 로켓배송과 당일배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식품 성장세가 있었다는 입장이다. 쿠팡이 로켓배송 등 물류와 유통, 고객 응대(CS)를 책임지고, 식품 제조사는 오로지 제품 생산과 품질에만 집중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된 덕분이다.
이처럼 쿠팡은 좀처럼 밝히지 않았던 입점 업체의 매출과 식품 판매액 성장률을 공개하며 이례적인 행보를 걷고 있다. 최근 CJ제일제당과 LG생활건강 등 제조사와 갈등이 계속되자 직간접적인 수치로 자신들의 건재함을 과시하고 있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쿠팡이 이렇게 강경하게 나오는 데는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제조사와의 갈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양사의 갈등으로 지난해 말부터 쿠팡에서는 로켓배송으로 CJ제일제당 제품을 구매할 수 없게 됐다. 대신 쿠팡이 직매입 하는 것이 아닌 개인 사업자가 판매하는 CJ제일제당 제품을 살 수 있다.
CJ제일제당은 1100만명의 유료멤버십 회원을 보유한 쿠팡에서 방을 빼며 자연스레 다른 곳으로 눈길을 돌렸다. 경쟁사인 신세계그룹의 유통사(이마트, SSG닷컴, G마켓)와 컬리, 11번가 등과 손을 잡고 나선 것이다. 일명 ‘反쿠팡연합전선’을 구축, 다채널 전략을 펼쳤다.
실제로 CJ제일제당은 최근 신세계그룹 유통 3사와 공동 상품 개발에 나섰고, 컬리와는 지난 3월 공동 상품 기획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또 네이버쇼핑이 운영하는 지정일 보장 서비스 ‘도착보장 전문관’에 입점하기도 했다. 지난달부터는 11번가의 익일배송 서비스 ‘슈팅배송’관에 대표 브랜드로 나섰고, 이달에는 티몬과 온·오프라인을 오가는 체험형 마케팅 행사 ‘티몬XCJ 푸드마켓’도 진행 중이다.
◆6개월간의 지난한 싸움, 승자는

반면 CJ제일제당은 식품사 중에서도 유일하게 저조한 성적표를 내놨다. 농심, 오뚜기, 삼양식품 등이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갈 때 CJ제일제당은 한 자릿수에 그쳤다. 올 1분기 식품사업 매출액은 2조7596억원으로 전년 대비 6% 증가에 그쳤고, 영업이익은 1340억원으로 전년 대비 21%가 뚝 떨어졌다.
이 가운데서 눈에 띄는 점은 해외 매출과 영업이익은 올랐는데, 국내 매출과 영업이익은 감소했다는 것이다. 해외 식품 매출은 1조3540억원으로 전년 대비 15%가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은 50% 이상 증가했다. 국내 매출액은 1조4056억원으로 전년 대비 2%가량 소폭 하락하면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이는 쿠팡과의 갈등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JP모건이 발행한 CJ제일제당 분석보고서에서도 이같은 사실이 드러난다. JP모건 보고서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의 지난해 3분기 국내 식품 매출 중 15%는 전자상거래에서 발생했다. 이 가운데 쿠팡이 차지하는 비율은 40%로 쿠팡 의존도가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사실상 이 갈등이 길어질수록 불리해지는 건 CJ제일제당일 것”이라며 “쿠팡은 중소, 중견기업이라는 대체제가 있지만 CJ제일제당은 26조 규모의 마켓 대체제를 찾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슬기 기자 seulg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