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정은경 기자] LG헬로비전이 1분기 유·무선 가입자 순증에도 불구하고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지난해 교육청 단말기 판매 기저효과가 영향을 미쳤다. 회사는 홈 사업 기반 하에 지역 사업 육성에 집중해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LG헬로비전(대표 송구)이 1분기 매출 2776억원, 영업이익 117억원을 기록했다고 11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8%, 9.2% 감소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127억원을 기록했다.
LG헬로비전은 이번 실적에 대해 "매출은 2022년 1분기에 반영된 교육용 스마트 단말 판매 일회성 수익 기저 효과가 영향을 미쳤으나, 이를 제외 시 매출과 가입자가 동시 증가하는 등 안정적인 성장세를 지속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홈 수익은 1683억원, MVNO(알뜰폰) 수익 419억원을 기록했다. 미디어와 렌탈, B2B를 포함한 기타수익은 674억원을 달성했다.
1분기 가입자는 전 사업 부문에 걸쳐 순증을 기록했다. 방송 가입자는 LG헬로비전 출범 이후 성장흐름을 유지 중이며, 인터넷 가입자도 ‘20년부터 줄곧 순증세를 이어오고 있다.
LG헬로비전은 방송∙통신 상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직영몰 고도화를 통한 비대면 고객경험 혁신에 집중해, UHD 및 기가인터넷 가입자 중심 질적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홈 연계 사업간 시너지를 토대로 현장의 영업 경쟁력도 한층 강화됐다.
MVNO 가입자도 신형 프리미엄폰 출시와 맞물려 MZ세대들의 ‘자급제+유심’ 소비 트렌드가 지속 확산되며 순증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편, 직영몰 개편을 통해 알뜰폰 eSIM 접근성을 개선하며 시장 활성화에 나선 상태다.
기타수익은 렌탈 성장이 견인했다. 헬로렌탈은 차별화된 트렌디 가전 라인업과 직영몰 셀프렌탈 서비스를 토대로 합리적인 소비자들의 선택을 이끌고 있다. ‘사장님 패키지’ 출시 등 B2B 시장 확대 기회도 모색 중이다.
미디어 부문에서는 지역채널 커머스 ‘제철장터’ 앱 출시로 TV∙온라인에 이어 모바일까지 지역 생산자와 소비자 간 접점을 확대했고, 종편과 공동 제작한 신규 예능 <모내기 클럽>을 선보여 오리지널 콘텐츠 경쟁력도 강화했다. 한편, 교육용 스마트 단말 판매 등 교육청 수주경험을 쌓아가며 지역사업 기반도 확대 중이다.
이민형 LG헬로비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1분기 상품 경쟁력과 비대면 영업체질이 동시 개선되면서, 사업 전반에 걸쳐 양질의 가입자가 늘어나는 등 견실한 성장을 유지했다.”며, “홈 사업의 질적 성장과 더불어 문화∙관광, 교육, 커머스 중심 지역사업 육성에 집중해 미래성장 모멘텀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