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DGB캐피탈은 지난 1분기 당기순이익 205억원을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19.6% 감소했다. 총영업이익은 47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다. 이자이익은 401억원으로 8.7% 증가했으나 비이자이익은 69억원을 기록하면서 23.3% 감소했다.
DGB캐피탈 관계자는 “영업자산 증가에 따라 영업수익은 증가했지만 차입비용률 상승 및 부동산 금융 추가 충당금 적립 등으로 순이익은 감소했다”라고 설명했다. DGB캐피탈은 부동산 금융 관련 충당금에 대해 선제적 관리 측면에서 추가 적립하는 등 확대할 계획이며 리스크관리 시스템과 여신전략 운영관리 고도화로 리스크 관리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수익성을 나타내는 ROA(총자산순이익률)와 ROE(자기자본순이익률) 모두 다소 하락했다. 지난 1분기말 기준 DGB캐피탈의 ROA는 1.91%를 기록하며 전분기 대비 5bp 상승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68bp 하락했다. ROE는 15.22%로 전분기 대비 60bp 상승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564bp 하락했다.
DGB캐피탈의 총자산은 지난 1분기말 기준 4조3726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70억원 줄었으나 전년 동기 대비 3181억원 증가했다. 총영업자산은 4조1431억원으로 기업금융 자산과 기계금융 자산이 감소했으나 소매금융 자산과 오토금융 자산이 증가하면서 전분기 대비 증가했다.
기업금융은 1조4769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577억원 감소했으며 전체 영업자산 중 35.6%를 차지했다. 소매금융은 1조1228억원으로 747억원 증가했으며 자동차금융은 1조816억원으로 211억원 증가했다. DGB캐피탈은 기업금융과 소매금융 취급을 늘리면서 기존 주력사업이었던 자동차금융도 렌터카 중심으로 확대하는 등 포트폴리오를 고수익 중심으로 확대하고 있다.
또한 DGB캐피탈의 건전성 지표는 다소 상승했다. 지난 1분기말 기준 DGB캐피탈의 연체율은 2.38%로 전분기 대비 96bp 상승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147bp 상승했다.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1.16%로 각 22bp와 37bp 상승했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
[관련기사]
- BNK캐피탈, PF 축소에 비이자익 감소…CSS 고도화 지속 추진 [금융사 2023 1분기 실적]
- 신한캐피탈, 부동산PF 충당금 보수적 적립 영향 순이익 줄어 [금융사 2023 1분기 실적]
- JB우리캐피탈, 충당금 확대 순익 감소…전년 수준 실적 목표 [금융사 2023 1분기 실적]
- 우리금융캐피탈, 순이익 20% 감소에도 순수영업력 ‘충전이익’ 늘어 [금융사 2023 1분기 실적]
- DGB캐피탈, 지속가능 성장 기반 마련 [캐피탈 생존 전략]
- 담비, 피플펀드 주담대·DGB캐피탈 전세대출 입점
- 김병희 DGB캐피탈 대표, 고수익 자산 리밸런싱 성과 눈길 [금융사 2022 실적]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