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만 이 같은 거래량 증가에도 뚜렷한 가격반등은 나타나지 않아, 지금의 거래량 회복을 시장 반등 시그널로 해석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에서 가장 거래량이 많았던 곳은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한 지역인 노원구와 강동구 등으로, 지난달 출시된 특례보금자리론 등 대출 혜택이 거래량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경기도 역시 거래량이 늘었다. 지난해 1월 3443건, 2월 3893건에 그쳤던 경기 아파트 거래량은 27일 기준 1월 4533건, 2월 3379건을 나타내고 있다. 역시 계약일 기준으로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경기 아파트 거래량도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문제는 거래량이 반등한 것이 가격 반등까지 이어지지는 못했다는 점이다. 부동산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1월 전국 아파트 상승거래 비중은 35.19%였던 반면, 하락거래는 54.38%로 20%가량 많았다. 2월에는 상승거래 비중이 소폭 회복해 40.87%까지 올랐지만, 여전히 하락거래가 48.43%로 상승거래보다 더 많았다.
부동산 한 관계자는 "최근 나온 특례보금자리론을 포함해 정부의 대출상품들이 공개되면서 수요층들의 숨통을 어느 정도 틔워줬다고 볼 수 있다"며, "다만 금리인상 문제도 있고, 급매물이 소화된 뒤의 추세적인 거래량 상승이 이어지지 않는다면 이런 회복세가 일시적인 현상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고, 워낙 기존에 규제들을 한꺼번에 풀어놓는 바람에 정부가 더 꺼낼 카드가 있을지도 미지수인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은행이 23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3.50%로 동결하기로 했지만, 영끌족들의 불안한 상황을 호전시키기는 다소 역부족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행 역시 지금의 금리 동결은 ‘인하 시그널’ 아닌 ‘일시중지’라는 메시지를 분명히 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금통위 뒤 열린 기자간담회 모두발언에서 "금번 기준금리 동결을 '금리인상 기조가 끝났다'라는 의미로 받아들이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