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금융그룹이 지주 부회장직을 두지 않고 지주사 권한도 대폭 줄였다. 차기 회장으로 내정된 진옥동닫기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이 지난 20일 단행한 조직개편은 지주사의 경영관리 기능 축소 및 효율화를 골자로 한다. 신한금융은 핵심 사업영역 및 신성장 동력 발굴 영역에서 그룹 차원의 협업 전략 강화를 위해 지주회사의 역할을 강화하는 ‘따로 또 같이’ 관점에서 변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그룹의 재무성과관리를 전담해온 지주회사 경영관리부문을 해체한다. 지주 및 자회사 겸직 형태(매트릭스 체제)로 운영돼 온 고객자산관리(WM)·퇴직연금·고유자산운용(GMS) 사업그룹장 겸직도 해제한다. 지주사에 부회장이나 사장급 총괄직을 만들어 매트릭스 조직을 강화하려는 방안은 백지화됐다.
반면 ‘그룹원신한부문’과 ‘그룹신사업부문’은 신설한다. 지주회사 부문별 기능을 재설계 해 그룹의 성장 아젠다 발굴 및 그룹사 간 협업을 통해 핵심 사업영역의 미래 변화를 지원하고, 시장에 대한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그룹 전체 가치 제고에 집중하기 위한 복안이다.
조용병닫기

신한금융은 사업 부문제를 통해 지주와 계열사 전반에 흩어져 있는 관련 사업을 일원화해 글로벌, GIB, WM, GMS, 퇴직연금 등 총 5개 그룹의 매트릭스 조직을 운영해왔다. 사업그룹별로 지주 소속 그룹장을 두고 해당 그룹장이 지주와 계열사 부사장 또는 은행 부행장을 겸직하는 식이다.
이번 조직개편에는 지주사의 권한을 줄이고 계열사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확대해야 한다는 진 행장의 의중이 반영됐다. 진 행장은 지난 8일 차기 회장 최종 후보자 선정을 위해 열린 회장후보추천위원회 면접과 프리젠테이션(PT) 과정에서 “지주사의 권한을 줄이고 계열사에 더 많은 권한을 줘야 한다”는 경영 구상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진다.
진 행장 입장에선 회장 임기 시작과 동시에 부회장직을 두는 게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조 회장이 3연임하고 지주 부회장직을 신설할 경우 진 행장과 함께 임영진닫기

금융당국에서 지주 매트릭스 체제의 내부통제 미흡을 문제 삼는 등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다는 점도 고려됐을 것으로 보인다. 매트릭스 조직은 그룹 내 시너지를 높여 의사결정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면서 지주사의 장악력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금융지주와 계열사 간 권한과 책임이 불일치하다는 점 등이 지적돼왔다. 실제 금융감독원은 라임사태와 관련해 신한금융지주 차원의 매트릭스 체제를 문제 삼아 조용병 회장에 경징계인 '주의적 경고'를 결정한 바 있다.
현재 부회장직을 운영하고 있는 하나금융의 경우 부회장 2인 체제로 전환할지 관심사다. 하나금융 그룹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14일 차기 하나은행장에 이승열닫기

이에 따라 연임 없이 2년 임기를 마치는 박성호닫기


하나금융은 올해 초까지 함영주·지성규·이은형 3인 부회장 체제였으나 함영주 회장이 지주 회장에 오르고, 지성규닫기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