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4.04.25(목)

“올해 열흘 남았는데”…카카오뱅크, 고신용자 대출 막고 약속 지킬까

기사입력 : 2022-12-20 10:24

(최종수정 2022-12-20 13:59)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ad
ad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 25%

카카오뱅크 판교오피스 내부 모습. / 사진제공=카카오뱅크이미지 확대보기
카카오뱅크 판교오피스 내부 모습. / 사진제공=카카오뱅크
[한국금융신문 김관주 기자] 카카오뱅크가 내일(21일)부터 고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신규 판매를 잠시 멈춘다. 이는 한 해가 열흘 가량 남은 가운데 금융당국과 약속한 중저신용자 대출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다만, 올해 은행권의 가계대출이 통계 작성 이후 18년 만에 처음으로 줄어들고 있어 실효성에는 의문부호가 붙는다.

카카오뱅크는 오는 21일부터 31일까지 중신용대출, 중신용플러스대출, 햇살론15를 제외한 신용대출 상품의 신규 신청을 중단한다고 20일 밝혔다. 신용대출 상품인 비상금대출과 마이너스 통장대출은 취급한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연말을 맞아 고신용 대출 잔액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 부득이 한시적으로 중단하게 됐다”고 말했다.

앞서 카카오뱅크는 작년 11월부터 지난 6월까지 고신용자 대상 신용대출을 중단한 바 있다.

해당 조치들은 모두 카카오뱅크가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를 맞추기 위해서 단행됐다. 중저신용자란 신용평점 하위 50%인 대출자로, 코리아크레딧뷰(KCB) 기준 신용점수가 850점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금융당국은 인터넷전문은행들에게 정식 인가를 내주면서 중저신용자 대출 활성화에 앞장설 것을 주문했다. 지난해 5월에는 인터넷은행이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당초 설립 취지와 달리, 고신용자 위주의 보수적인 대출 영업을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당시 금융당국이 발표한 ‘혁신적 포용 금융을 위한 인터넷전문은행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 계획’에서는 “인터넷전문은행이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 계획을 미이행하면 신사업 인허가 등에 고려하겠다”고 명시했다.

은행연합회 공시를 보면, 카카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은 잔액 기준으로 지난 9월 말 기준 23.2%를 기록했다. 현재 24% 중반을 돌파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연말까지 금융당국에 제출한 목표치인 25%를 달성해야 한다.

케이뱅크와 토스뱅크는 올해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를 각각 25%, 42%로 잡았다. 지난 3분기 기준 케이뱅크는 24.7%를 기록했다. 토스뱅크는 40%를 넘겼다.

다만, 카카오뱅크의 행보를 두고 업계에서는 고개를 갸우뚱하는 모습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최근 가계대출 중 신용대출 잔액이 가파르게 줄어들고 있다”며 “올해가 열흘 정도밖에 남지 않았는데, 카카오뱅크가 갑자기 고신용자 신용대출을 중단한 것이 유의미한 성과를 거둘지는 의문”이라고 밝혔다.

최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쪼그라들고 있다. 이들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15일 기준 693조6469억원으로, 작년 말(709조529억원)보다 15조4060억원 감소했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전세대출 포함)은 1년 새 505조4046억원에서 511조7610억원으로 6조3564억원 뛴 반면, 신용대출은 18조2068억원(139조5572억원→121조3504억원) 급감했다.

이에 금융권에서는 올해 은행 가계대출 잔액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18년 만에 첫 감소 기록을 세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자 부담이 높아지고 부동산과 주식, 코인 등 자산 시장이 얼어붙은 영향에서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김관주 기자기사 더보기

[관련기사]

금융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