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3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 경제·금융수장들이 참석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 사진제공= 한국은행(2022.11.03)
[한국금융신문 정선은 기자] 경제·금융수장들은 미국 연준(Fed)이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4연속 자이언트 스텝(75bp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한 데 대해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보고 경계감을 유지하기로 했다.
추경호닫기추경호기사 모아보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오전 7시30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이창용닫기이창용기사 모아보기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닫기김주현기사 모아보기 금융위원장, 이복현닫기이복현기사 모아보기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미국 FOMC 주요 결과 및 국제금융시장 동향과 회사채·단기자금시장 동향을 점검하는 한편, 어제 북한 도발이 국내외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논의했다.
이날 새벽 미국 연준은 기준금리를 3.0~3.25%에서 3.75~4.0%로 네 차례 연속으로 75bp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향후 긴축속도 조절 가능성을 시사하면서도, 금리인상 중단은 시기상조이며 최종 금리수준 또한 당초 예상보다 높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미국 연준의 긴축기조 완화 기대감 축소에 따라 간밤 국제금융시장을 보면 뉴욕증시는 하락하고, 금리는 상승했으며, 달러화는 강세로 마감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이번 미국 FOMC 결과에 따라 참석자들은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이 향후 우리와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칠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그 어느때 보다도 높은 경계감을 유지하며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또 당국 수장들은 북한 도발과 관련 이날 새벽까지 국제금융시장 반응을 볼 때 아직까지는 국내금융시장에 대한 특별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되나 항상 잠재되어 있는 북한리스크의 현재화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는 만큼 관련 시장상황에 대해서도 예의주시하기로 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