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내 집 마련에 나서는 무주택자의 숫자가 9년 여만에 2만명 아래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지난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 매수를 주도했던 2030대의 생애 첫 부동산 매수 건수도 크게 줄었다.
지역별로 볼 때 2030세대의 서울 지역 부동산 매수세는 확연히 감소했다. 2030세대의 서울 부동산 매수는 올해 1~9월 1만7565명으로, 지난해 3만7547명보다 53.22% 줄었다. 그 다음 감소율이 높은 지역은 ▲부산 43.27% ▲경북 42.44% ▲경기 41.43% ▲인천 36.55% 순이었다.
전문가들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10억원을 넘으며 전국 최고가를 찍고 있는 상황으로 기본적으로 비싸고, 집값 하락이 전망되면서 관망세도 그만큼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동대문구의 한 공인중개사 대표는 “지난해까지만 하더라도 실거주·투자 목적으로 신축아파트를 찾는 2030세대가 많았지만, 최근은 문의도 많아 떨어졌다”며 “그나마 2030세대 영끌이 성사되는 물건은 빌라·주택·구축아파트로 조금씩 바뀌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한편 올해 1~9월 기간 전체 연령별로도 서울 지역 매수인은 전년 대비 감소율이 48.90%로 조사됐다. 뒤를 이어 ▲경북(48.15%) ▲경기(48%) ▲부산(44.25%) ▲인천(34.77%) 등 2030세대 감소율 순위와 비슷한 순서를 보였다.
주현태 기자 gun131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