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신한은행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의 '금리 인상기 취약 차주 프로그램'을 이달 초 시행한다. 신한은행은 6월 30일 기준 연 5% 초과 주담대를 이용하고 있는 고객의 금리를 연 5%로 일괄 감면해 1년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연 5.6%의 금리를 적용받고 있었다면 고객은 연 5% 금리만 부담하고 연 0.6%포인트는 깎아주는 것이다.
다른 시중은행들도 신한은행의 조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최근 예대금리차가 벌어지면서 은행 이자 장사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은에 따르면 5월 기준 예금은행의 예대금리차는 2.37%포인트 수준으로 2014년 10월(2.39%포인트) 이후 7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벌어졌다. 금리상승에 따른 이자 수익에 힘입어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는 올 상반기 약 9조원의 사상 최대 순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이 원장은 지난 20일 17개 국내은행 은행장들과 간담회를 열고 “금리 상승기에 예대금리차가 확대되는 경향이 있어 지나친 이익 추구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며 “금리를 합리적이고 투명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산정해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석열닫기

한편 신한은행은 새로 주담대나 전세자금대출을 받는 고객의 금리는 각각 0.35%포인트와 0.30%포인트씩 인하하기로 했다. 금리상한형 주담대는 고객이 부담하는 연 0.2% 가산금리를 1년간 은행이 부담한다. 금리상한 주담대는 금융감독원과 은행이 함께 추진하는 상품으로 변동금리를 이용하는 고객의 금리상승 리스크를 완화하고 금리 상승폭을 연간 0.75%포인트 이내로 제한해 금리 인상을 우려하는 고객에게 유리하다.
향후 2년간 금리 변동 리스크를 은행이 부담하는 금융채 2년물 전세자금대출 상품도 출시했다. 연소득 4000만원 이하, 전세보증금 3억원 이하로 전세자금대출을 이용하는 고객이 대상이다. 이 상품은 금리 인상 시에도 2년간 고정금리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단기금리물에 비해 금리 상향 리스크를 제거할 수 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