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준닫기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타이어 업종은 어려운 영업 환경에 놓여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의한 유럽 주문자 상표 제품 생산 업체(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의 물류 차질과 중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 러시아 경제 제재,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영업 악화 요인으로 작용 중이다.
하지만 기업 간 전자상거래(B2B·Business to Business)를 통한 제조 중심의 일반적 부품 업체들과 달리, 글로벌 타이어 업체들은 판매 가격 인상을 통한 원가 전가가 용이한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Business to Consumer) 비즈니스인 교체용 타이어(RE·Replacement Equipment) 부문 서전으로 대부분 지난 1분기 양호한 분기 실적을 전개했다.
김준성 투자분석가는 “넥센타이어는 지역 거점 도매상에 대한 낮은 협상력에서 기인한 제한적 가격 인상과 낮은 원자재 구매 효율성으로 인한 더 높은 원가 상승 등의 영향 때문에 같은 업종 기업 대비 실적 부진이 심화했다”며 “제한적인 원가 전가 역량을 고려했을 때, 적자 기조가 당분간 유지될 수 있다고 판단해 보수적 투자의견을 견지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신영증권(대표 원종석·황성엽)은 넥센타이어에 관해 목표가를 기존 9000원에서 8000원으로 하향했다. 이유는 역시 낮은 단기 실적 기대감이었다.
문용권 투자분석가는 “넥센타이어는 생산 감소에도 우호적 환율 효과와 평균 판매단가(ASP·Average Selling Price) 인상 효과에 힘입어 기대치에 부합하는 매출을 거뒀지만, 운반비 부담 여파로 2개 분기 영업적자를 기록했다”며 “운반비 부담 지속에 따라 2분기에도 감익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단, 2개 분기 연속으로 해당 분기 최대 매출 신기록을 경신한 만큼 운반비 비용이 내려갈 경우 이익 개선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지윤 기자 dlawldbs20@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