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일희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수석부대변인은 서울 통의동 인수위에서 열린 기자 브리핑을 통해 "1기 신도시 재건축 문제는 부동산 태스크포스(TF)가 중장기 국정과제로 검토 중인 사안"이라며 관련 규제 완화에 대한 인수위의 신중한 입장을 재확인시켰다.
그러나 이 같은 공약이 나온 뒤, 분당과 일산 등 1기신도시 아파트를 중심으로 하향안정화되던 집값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매매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마지막주 이후 하락세로 돌아섰던 분당의 아파트 가격은 4월 2주 0.01%의 상승 전환 이후 2주 연속으로 상승폭을 키웠다. 같은 기간 하락과 보합을 반복하던 고양시 집값도 0.02%로 상승폭이 커졌다.
고양시 일산서구 강선마을(유원) 58㎡형은 이달 초 5억8300만원에 거래되며 종전 최고가였던 4억6000만원보다 1억2300만원이나 오른 가격으로 손바뀜했다. 분당구 이매촌(삼성) 73㎡형 역시 이달 9일 12억7000만원에 거래되며, 종전 최고가보다 4000만원 뛴 가격으로 거래됐다.
그러나 평균 용적률이 분당 184%, 일산 169%, 평촌 204%, 산본 205%, 중동 226%로 분당과 일산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재건축 단지보다 높고 지구단위계획으로 용적률이 제한돼 있어 재건축 추진이 어렵다는 것이 그간 전문가들의 분석이었다.
인수위와 정부는 현재 신도시의 주거지 용적률을 법정 상한(최대 300%)까지 올리되 역세권 등 일부 지역은 준주거지역 등으로 종상향을 해 용적률을 최고 500%까지 높이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덕수닫기

부동산 한 전문가는 “규제완화만이 아니라 주택공급 역시 집값 상승 시그널을 줄 수 있어 이런 부분들에 대한 고민이 길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시장친화적 정책을 편다면 단기적인 집값 상승은 불가피한 부분이고, 이런 부분들을 감안하더라도 공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면 중장기적인 집값이 잡힐 수 있을 것이므로 과감한 결단이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을 밝혔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