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4.11.22(금)

청년 10명 중 8명 ‘내 집 꼭 소유해야’…43%만 ‘10년 내 가능’

기사입력 : 2022-02-24 15:01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내 집 소유 의식 및 부모 지원 가능성에 따른 주택소유 가능성(왼쪽), 주택소유 의식에 따른 주택소유 불가능 시 희망 대안. / 자료제공=국토연구원이미지 확대보기
내 집 소유 의식 및 부모 지원 가능성에 따른 주택소유 가능성(왼쪽), 주택소유 의식에 따른 주택소유 불가능 시 희망 대안. / 자료제공=국토연구원
[한국금융신문 김관주 기자] 국내 미혼 2030세대 무주택자 10명 중 7~8명은 ‘내 집은 꼭 소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소득과 자산을 고려했을 때 향후 10년 안에는 주택을 소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청년은 43%에 그쳤다.

24일 국토연구원(원장 강현수)에 따르면 박미선 주거정책연구센터장 연구팀은 국토이슈리포트 제 58호 ‘2030 미혼 청년의 주거 여건과 주거 인식’을 통해 최근 취업, 소득, 사회적 건강, 결혼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한 2030 미혼 청년들의 주거 상황과 주거정책 인식을 조사했다.

청년 세대들의 주거 상황과 주거정책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39세 이하 미혼 남녀(3009명)를 대상으로 웹과 모바일 등을 통해 ‘2030 미혼 청년 주거인식 조사’를 실시(지난해 9월 17일~28일)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미혼 청년의 약 2/3는 부모와 함께 살고 있으며, 독립한 청년의 60%는 직장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동거 청년은 직장인(36.9%), 학생(33.4%)이 대부분이었다. 월평균 소득 100만원 미만이 43.2%로 낮은 소득 수준을 보였다.

반면 부모 독립 청년은 대부분이 직장인(59.6%)으로 소득은 200~300만원 수준이 38.1%, 300만원 이상이 22.2%로 부모 동거 청년에 비해 소득 수준이 비교적 높았다.

부모 독립 청년은 아파트 이외(74.7%), 보증부 월세(43.8%)로 거주하고, 독립 청년의 42.1%는 현재 거처 마련 시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받았다.

부모에게 받은 경제적 지원은 임차보증금(60.5%)이 60.5%로 가장 컸다. 이어 초기 월세(19.2%) 자가주택 구입 자금(16.2%) 순이었다. 지원 규모는 평균적으로 보증부 월세 보증금의 60.9%, 전세보증금의 45.3%, 자가주택 가격의 45.1%로 조사됐다.

2030세대 미혼 청년 중 85.5%는 무주택자였다. 반면 14.5%는 본인 명의의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무주택 미혼 청년의 77.0%는 내 집을 꼭 소유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주택소유 의식과 미래 주택소유 가능성은 부모의 경제적 지원에 대한 기대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주택 구입 시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기대하는 청년(81.3%)은 그렇지 않은 경우(74.6%)보다 내 집을 꼭 소유해야 한다는 의식이 더 강했다.

주택소유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무주택 청년 중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기대하는 청년(57.9%)은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기대하지 않는 청년(41.4%)에 비해 미래 주택소유 가능성을 더 높게 예상했다.

본인의 소득과 자산을 고려했을 때 10년 이내에 주택을 소유할 수 있다고 응답한 무주택 미혼 청년은 42.6%에 그쳤다.

만약 향후 10년 내 주택 소유가 불가능할 경우 고려하는 주거 형태로는 일반 전월세가 60.3%, 공공임대주택이 37.6% 등이었다.

2030 미혼 청년들이 생각하는 공공임대주택의 가장 큰 장점은 ‘저렴한 주거비(66.5%)’가 압도적이었다. 뒤이어 ‘계약기간이 길어 안정적 거주 가능(17.9%)’과 ‘임차보증금 보호 등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8.1%)’ 등 순으로 나타났다.

공공임대주택의 단점은 ▲‘입주자격 제한으로 입주하기 어려움(27.9%)’ ▲‘공급이 너무 적어서 경쟁률이 높음(27.1%)’ ▲‘주변환경이 좋지 않거나 면적 등 선택이 제한적(22.5%)’ ▲‘민간임대보다 품질이 나쁘고,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21.7%)’ 등이 고른 응답분포를 보였다.

공공임대주택의 단점이 고르게 응답된 점을 통해 까다로운 자격요건 재검토, 지속적 공급, 면적 확대, 품질 개선, 입지 반대 등 인식 개선이라는 정책과제를 요청됨을 알 수 있다.

가장 시급한 정책은 ▲‘누구나 오랜기간 거주할 수 있는 공공임대주택(23.6%)’ ▲‘신규주택공급 확대(22.7%)’ ▲‘무주택 청년 주거비 지원(21.4%)’ ▲‘새로운 형식의 분양주택(19.7%)’등으로 고르게 나타났다.

이는 한가지 정책을 통해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음을 시사하며, 이전과 다른 시기에 이전과 다른 세대에 맞는 다양한 정책 시도가 요구됨을 의미한다.

박미선 주거정책연구센터장은 미혼 청년의 주거 인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책 대상 및 정책수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주택소유 의식과 미래 주택소유 가능성에 부모의 경제적 지원에 대한 기대가 중요한 점은 부모세대의 소득·자산격차가 자녀세대로 대물림될 가능성을 시사하기 때문에 부모 도움 없이도 적정 주거를 마련하도록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박 주거정책연구센터장은 “부모의 지원이 가능한 청년과 아닌 청년의 출발점 차이가 독립하는 시점과 내 집 마련 시점에 걸쳐 누적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에 이 사회가 주목해야 한다”며 “시급히 시행되길 희망하는 정책으로 공공임대, 신규주택공급, 새로운 형식의 분양주택, 주거비 지원이 모두 상당한 비중으로 중요하게 대두됨에 따라 다양한 정책 시도가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issue

김관주 기자기사 더보기

유통·부동산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