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만 이미 천정부지로 오른 집값으로 인해 매매보다 분양을 택하는 수요층이 늘면서, 미분양 실적과 주택매매거래는 꾸준한 하락세를 그리고 있다.
10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은 총 1만4075호로, 전월 1만3842호 대비 1.7%(233호) 늘었다. 수도권은 1290호로 전월(1413호) 대비 8.7%(123호) 감소하는 한편, 지방은 1만2785호로 전월(1만2429호) 대비 2.9%(356호) 늘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7740호로 전월 7963호 대비 2.8%(223호) 줄었다. 매물이 서서히 쌓이고는 있지만, 연간 물량을 보면 여전히 뚜렷한 미분양 감소세가 나타나는 모습이었다.
10월까지 누계 주택 매매거래량 또한 89만4238건으로 전년 동기(102만2266건) 대비 12.5% 줄었다. 수도권과 지방 모두 전년대비 각각 19.9%, 4.3%씩 줄어들었다.
이처럼 미분양과 매매거래 모두가 위축된 것은 오를대로 오른 전국의 집값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KB부동산이 발표한 '11월 월간주택시장 동향'에 따르면 11월 서울 주택 평균 매매가격은 9억185만원을 기록했다. 8억9216만원을 기록한 지난 10월보다 969만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인허가·착공 전년대비 각각 24.4%, 17.8% 증가, 본격적인 공급 시그널 켜지나
10월 누계 주택 인허가실적은 전국 40만5704호로 전년 동기 대비(32만6237호) 24.4% 늘었다.
수도권은 20만3823호로 전년 동기 대비 18.8% 증가, 지방은 20만1881호로 전년 동기 대비 30.6% 늘었다. 특히 전국 아파트가 30만6543호로 전년 동기 대비 28.7% 증가했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9만9161호로 전년 동기 대비 12.6% 증가했다.
같은 기간 누계 주택 착공실적 또한 전국 45만1134호로 전년 동기 대비(38만2888호) 17.8% 증가했다. 수도권은 22만6220호로 전년 동기 대비 13.9% 증가, 지방은 22만4914호로 전년 동기 대비 22.1% 증가했다.
인허가와 착공 실적은 당장은 아니더라도 미래 주택공급에 중요한 지표가 된다. 그간 공급 측면에서 소극적이었다는 이유로 부동산 불안을 부추겼던 정부가 대대적인 공급을 약속하면서, 본격적인 지표 개선이 이뤄진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10월 누계 주택 준공(입주)실적은 전국 32만3229호로 전년 동기 대비(39만77호) 17.1% 감소했다. 지난해까지 다소 미진했던 인허가·착공이 올해 부진한 결과로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대대적인 공급 확대야말로 부동산 안정을 위한 가장 빠르고 정확한 길이라는 게 대다수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지난해부터 대규모 공급이 쏟아졌던 세종시의 경우, 입주가 늘어나며 올해 하반기부터 눈에 띄는 집값 하락장에 접어들었다. 마찬가지로 매물이 늘어난 대구 역시 11월 들어 집값이 하락세로 전환했다.
수도권에서도 매물이 쌓이기 시작하며 보합전환하거나 하락하는 지역도 발생하는 등, 정부가 지향하던 집값 안정세가 서서히 윤곽을 드러내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5주 서울 강북구는 가계대출 총량 규제와 금리인상, 매물 확대 등으로 관망세가 짙어지며 보합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한 전문가는 “이번달 지표는 그간 문재인정부가 펼쳐왔던 부동산정책의 방향이 잘못된 방향이었다는 것을 가장 잘 보여주는 동시에, 뒤늦게나마 올바른 방향으로의 수정이 이뤄지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며, “아무리 규제를 펴도 궁극적으로 부동산 안정과 실수요층을 보호하려면 공급 확대가 불가피하고, 정부의 표현대로 ‘쇼크’급의 공급이 이뤄져야만 차기 정부에서라도 서민들의 내 집 마련 희망이 생길 것”이라고 진단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