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금융 및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오는 2022년 보험사 평균 공시이율을 올해와 같은 2.25%로 확정했다.
금융감독원이 평균 공시이율을 동결한 건 최근의 시장금리를 반영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 8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린 바 있다. 이어, 내달 열리는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시사했다.
이에 보험사들은 아쉬울 수밖에 없다. 현재 보험사들의 예정이율은 시장금리 대비 매우 높기 때문이다. 보험사들은 금리연동형 보장성 보험 상품에 2% 초반의 예정이율을 적용하고 있으나 기준금리는 0.75%이다.
10월 말 경 확정되는 평균공시이율은 각 보험사의 다음해 사업계획과 예정이율 조정의 근거가 된다. 예정이율이란 보험사가 가입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할 때까지 보험료를 운용해 올릴 수 있는 예상 수익률을 말한다. 예상수익률이 낮을수록 보험료를 더 거둬야 가입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기에 예정이율이 낮아질수록 보험료가 오르게 된다.
이에,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보험사의 평균공시이율에 따른 사업 계획과 예정이율 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평균 공시이율을 동결하면서 장기보험의 등의 경우 보험료 인상이 어려울 수 있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