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 및 복수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임대사업자 세제 혜택 문제는 당 내에서 철회된 것으로 전해졌다. 임대사업자 혜택 폐지 철회는 임대차3법 시행 1년이 넘도록 시장의 전세난이 해소되지 않고 오히려 가중되고 있는 것에 대한 고육지책으로 풀이된다.
당정은 임대사업자들에게 과도한 세제 혜택을 주는 바람에 조세 정의 논란과 함께 등록 말소된 사업자들이 매물을 시장에 내놓지 않아 집값 안정에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시장의 반응은 반대였다. 임대사업자 혜택 폐지로 등록임대 매물마저 사라지면 이미 시장을 휩쓸고 있는 전세난과 매물잠김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였다. 대한주택임대인협회도 "4년 전 권장했던 제도를 스스로 뒤집는 행위"라고 비판하고 "등록임대 대부분이 빌라 형태인데 아파트 중심의 집값 급등 책임을 임대사업자에게 돌리는 건 모순"이라고 반발했다.
이처럼 정책이 줏대 없이 오락가락하는 것을 두고 정권 말기 ‘부동산 레임덕’이 가속화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임대사업자 A씨는 “늘 지금이 최악이라고 생각하지만 항상 새로운 최악의 수가 나오며 ‘바닥 아래 지하실’이 있는 것만 같다”고 한탄하는 한편, “임대사업 자체를 정부가 밀어준다고 공언해서 이쪽에 뛰어든 건데, 이제와서 우리를 악당 취급하고, 집값 상승의 주범으로 모는 것이 어처구니 없는 지경”이라며 울분을 토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