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상화폐 거래소에 대한 실명확인 계정 발급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발급이 확대될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금융당국은 앞서 지난달 11일부터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을 받은 가상화폐 거래소 20곳과 인증 준비 중인 9곳 등 총 29개 가상화폐 거래소로부터 현장 컨설팅을 신청받았다.
이후 지난달 14일 지닥을 시작으로 빗썸, 코인원, 고팍스, 포블게이트, 코인빗, 코빗 등 주요 가상화폐 거래소에 대한 컨설팅에 착수했다. 금융당국은 컨설팅 담당 인원을 해당 거래소에 파견, 담당자가 현장에 상주하며 컨설팅을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가상자산 거래소 컨설팅은 신고된 업체를 중심으로 시장을 빠르게 재편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됐다.
컨설팅을 끝낸 거래소들은 정부 신고 요건을 갖추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개정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에 따라 원화를 취급하는 가상자산 거래소는 ISMS 인증, 은행 실명확인계좌 획득의 요건을 갖춰 오는 9월 24일까지 금융위에 신고해야 영업할 수 있다.
현재 ISMS를 획득한 업체는 20곳이다. 실명계좌까지 확보한 업체는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등 4곳뿐이다.
특히 이날 금융위가 가상화폐 사업자에 대한 당국 신고 유예기간을 연장하지 않겠단 방침을 재확인하면서 가상화폐 거래소들의 발등에는 불이 떨어졌다.
금융위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기존 가상자산 사업자에 대한 신고 유예기간은 9월 24일까지 6개월”이라며 “그 이후 별도의 유예기간은 없다”라고 못 박았다.
거래소 신고 마감일까지 신고하지 않은 거래소를 폐쇄하더라도 코인 투자자 보호를 위해 가상화폐 투자자가 보유한 코인을 출금하거나 다른 거래소에 이동시킬 수 있는 유예기간을 두는 방안이 유력하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한 반박이다.
금융위는 “9월 24일까지인 유예기간 이후 신고를 하지 않고 가상자산거래를 영업으로 하는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강조했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
[관련기사]
- 은성수 “해외 가상화폐 거래소도 국내 영업 시 신고 대상”
- 은행, 가상화폐 거래소 새 기준 평가 분주…9월로 계약 임시 연장
- 은행, 불량코인 많으면 실명계좌 발급 안한다…가상화폐 거래소 운명은
- 은행 면책 선그은 금융위...가상화폐 거래소 생존 험난 예고
- 은성수 “가상화폐 자금세탁 1차 책임은 은행에”
- 빗썸, 가상자산업계 최초 '준법경영 국제표준' 인증 획득
- 오늘 정무위 가동…가상자산 법안 테이블로
-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가상자산 '트래블룰' 공동대응 합작법인 설립 맞손
- 금융위, 가상자산사업자 ‘위장계좌’ 단속 강화…전수조사 실시
- 가상자산 관리·감독 금융위 주관...TF 본격 가동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