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원 프로그램은 ▲‘혁신‧창업기업’에 설비투자 촉진 ▲‘성장유망 기업’에 전액 신용대출 ▲‘일시적 유동성 위기 기업’에 금융 안전망 지원 등 총 세 가지 방안으로 구성됐다.
이 대출을 받은 중소기업은 매출 발생이 없는 시설투자 초기(최대 1년)에는 가산금리를 제외한 기준금리 수준의 이자만 납입하면 된다. 유예된 가산 금리는 매출 발생이 시작되는 2년 차부터 나눠서 납입할 수 있다.
일정 요건을 갖춘 성장유망 기업들에게는 1조원 규모의 전액 신용대출을 제공한다. 과거 재무실적 위주 심사방식에서 벗어나 빅데이터 등 기업 동태 정보를 활용한 심사로 담보력이 부족한 유망 기업 대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일시적인 유동성 위기로 신용등급이 하락한 기업에게는 ‘금융 안전망 지원’을 통해 금리 상승을 최소화한다. 여신 한도와 우대조건 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이 이뤄진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앞으로도 IBK기업은행은 거래 중소기업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지원하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대한 맞춤형 금융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임지윤 기자 dlawldbs20@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