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은행 관계자는 “최근 100만 이용자를 달성한 대구은행 디지털 플랫폼 ‘IM뱅크’가 본격적인 성과를 내기 시작하면서 전통적인 영업점과 다른 사업구조인 비대면 채널 특성을 고려한 수익성 분석 필요성이 제기돼왔다”며 “디지털과 함께 최근 견조한 성장을 시현한 글로벌 사업까지 망라하는 수익성 분석체계를 구축해 디지털과 글로벌 사업에서의 성공을 이어 나가는데 이를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종합수익관리시스템은 기존 영업점 중심 수익성 측정 방식을 탈피해 채널 관점 수익성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뒀다. 이를 바탕으로 대면과 비대면 채널 간 지원 효과를 정확히 측정해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해외지점과 해외법인 글로벌 네트워크 데이터도 입수‧분석한다. 글로벌 사업 부문이 은행 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두 자릿수 이상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투자 의사 결정의 계량적 근거자료를 산출하는데 활용한다는 복안이다.
이 밖에도 대구은행이 최근 의욕적으로 실행하고 있는 수도권 파트너 관계 관리(PRM) 센터와 1인 지점장 제도 등 신사업 제도 성과 측정 기반을 확보한다. 주 52시간 근무 제도와 금융소비자보호법 도입 등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던 영업점 수익성 측정 체계도 대폭 개선할 예정이다.
임성훈닫기

임지윤 기자 dlawldbs20@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