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건설은 2019년 건설사 최초로 자체 개발한 안전관리시스템인 HIoS(하이오스: Hyundai IoT Safety System)에 최근 주요 안전 이슈로 주목받는 ‘감염, 침수, 화재 사고 대응 기능’을 추가 개발해 기존 4개 사고대응 기능(작업자 위치관제, 밀폐공간 가스누출감지, T/C충돌방지, 환경민원관리)을 포함한 총 7개의 현장안전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현대건설의 스마트건설 혁신 현장인 ‘대구 정부통합전산센터’에 추가 기술을 통합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향후 타 현장에 확대 적용해 건설현장의 안전성 제고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해당 정보는 현장 내 코로나 19 감염 인원 발생 시, 해당 근로자의 2주간 이동 동선과 타 직원과의 접촉여부를 1분 이내에 파악해 정부 등 관계기관에 역학조사에 필요한 신속한 정보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현장 내 진입차단, 격리, 역학조사 등을 진행해 감염 전파를 최소화 할 뿐 아니라, 근로자 경로분석 등을 통한 공사 중단 구역 설정 및 방역작업등의 적기 대응·조치가 가능해 감염자 발생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현장에 설치된 침수 센서는 물과의 접촉 여부를 On/Off 형태로 측정하며 설치 위치 정보와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수위 데이터는 측정 위치에서 수면까지 거리를 측정해 범람까지 남은 수위를 관리하며, 미리 입력된 임계값 이상/이하의 수치 발생 시 주위단계 및 위험단계로 구분하여 표출되고, 안전관리 담당자 혹은 미리 지정된 관리자에게 문자로 위험상황을 실시간 제공한다.
해당 수위 및 침수센서는 구역별 확인 뿐 아니라 현장 전체적으로도 정보 확인이 가능해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현장관리 진행이 가능하다.
현대건설은 화재에 사전대응하기 위해 건설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유증기, 가연성 가스의 누출을 미리 감지해 알람을 제공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다양한 가스센서를 하나의 함체로 구성할 수 있는 센서를 연동했고, 가스가 발생할 수 있는 지점이 공종에 따라 변화하는데 대응하기 위해 이동식 함체로 구성했다. 유증기 센서의 가스 종류별 이력 정보를 차트로 제공하며, 사후 이력 관리도 가능하다.
침수 센서 기능과 마찬가지로 미리 입력된 임계값 이상/이하로 수치 감지시, 안전관리 담당자 혹은 미리 지정된 관리자에게 문자로 위험상황을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하이오스(HIoS)에 저장되는 근로자 위치 및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글로벌 건설사 위상에 걸맞은 스마트 안전 관리 방식으로 건설현장의 안전성 제고에 심혈을 기울일 것”이라 말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