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도규상 금융위 부위원장이 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업금융 현황 및 리크스 요인 점검회의를 비대면 화상회의로 진행하고 있다./사진=금융위원회(2021.3.3)
[한국금융신문 한아란 기자] 금융위원회는 혁신기업 지원을 위한 기업금융 플랫폼을 구축하고 기업의 사업재편과 신산업 진출 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도규상닫기도규상기사 모아보기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3일 기업금융 현황 및 리스크 요인 점검회의를 열고 “자금공급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업황 데이터 등을 수집·분석해 실제 산업현장 호흡과 연동된 기업금융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신산업 기술변화, 산업간 융복합 등 경제·산업구조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체계적 산업분류와 기업금융분류 기준을 마련하고, 다양한 기업금융 데이터를 비롯한 산업 업황 데이터들을 통합·관리·분석하는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도 부위원장은 “기업금융 플랫폼을 통해 기업의 혁신적 사업재편과 선제적 재도약 노력을 지원하겠다”며 “기술변화 등 산업 생태계 및 구조변화에 대한 금융권의 이해를 한층 높이고 혁신 분야에 적극적 자금지원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디지털·그린 분야를 통한 경제대전환 노력에 맞춰 혁신기업을 발굴하고 적극적 자금지원이 이뤄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로 했다. 산업동향 등에 대한 엄밀한 분석을 통해 특정 분야에 자금이 쏠리지 않게 하는 등 효과적인 리스크 관리도 지원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도 부위원장은 “제대로 된 산업분류와 기업금융분류에 기초한 플랫폼은 기업금융정책 수립의 토대가 되고 기업금융의 산업간 효율적 재원배분 기능을 제고하는 시발점”이라며 “산업현장과 함께할 수 있는 살아있는 기업금융 플랫폼 구축에 금융권과 관계부처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을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2년차의 기업금융 정책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도 부위원장은 “올해는 기존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 재연장 등 금융지원을 지속해 나가면서 중소·중견기업들이 산업구조 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아울러 코로나19 대응과정에서 증가한 기업부채가 우리 경제의 잠재적 리스크로 작용하지 않도록 연착륙 방안과 연계해 면밀히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