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에 흩어져있는 본인 정보를 데이터 형태로 받거나 제3자에게 전송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서비스다. 데이터 유통 생태계를 조성하고 국민의 데이터 주권을 강화하기 위한 디지털 정부 혁신의 중점 과제로 추진돼왔다.
공공 마이데이터에서 공공-금융 분야를 연결하는 연계기관 역할을 수행하는 신용정보원은 국민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국민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현대카드 등 금융사 9곳과 함께 공공 마이데이터 시범서비스를 추진해왔다.
이달부터 시범서비스에 참여한 금융사 9곳의 신용대출 신청 및 신용카드 발급 온·오프라인 서비스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신현준 신용정보원장은 “공공 마이데이터 시범서비스를 통해 금융소비자들이 금융회사에 행정서류를 제출하는 번거로운 절차가 간소화될 뿐 아니라 디지털 약자들이 주민센터를 따로 방문하지 않아도 금융회사에 내방해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융사는 정확한 공공데이터를 안전한 유통체계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받게 돼 시간·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혁신 서비스를 구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