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종학 대표는 21일 오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0 한국금융투자포럼’의 패널토론에 참석해 국가부채를 줄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강 위원장은 “부채 수준을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경제가 호황을 맞아 세금을 많이 걷어서 줄이는 것이 교과서적인 방법이지만, 실질 수요가 활발하지 않으리라고 보이는 현시점에서는 그 방법이 쉽지 않을뿐더러,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라며 각국 정부가 금융억압 정책을 얼마나 고려해볼 수 있는지에 대해 질문했다.
금융억압은 과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40~50년대 미국 등이 국가의 부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용했던 인위적 저금리 정책을 말한다.
박종학 대표는 “재정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경제가 제대로 구동돼 그 속에서 세금을 걷어 부채를 점점 줄여 나가면 좋겠으나, 지금은 부채가 그 수준을 뛰어넘어 크게 증가한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박 대표는 “미국의 경우에도 과거 실질금리는 낮지만, 인플레이션을 유발해 100%를 웃도는 엄청난 부채 규모를 40% 정도까지 줄인 바 있다”라며 “지금과 같이 어마어마한 부채를 떠안은 상황에서 과거 미국과 같은 방식으로 부채를 줄여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한 금융억압 정책을 통해 인플레이션과 자산 버블 등을 어느 정도는 용인해나가는 정책들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