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남기닫기

3축 설계 중 선도적 역할로 정책형 뉴딜펀드를 신설해 5년간 20조원 규모로 조성하기로 했다. 정부출자 3조원, 정책금융기관 4조원, 민간자금(금융기관 및 국민) 13조원으로 구성된다. 정부·정책금융이 조성한 모펀드가 후순위 출자를 맡아 투자리스크를 우선 부담한다. 사모재간접 공모 방식이 주요하며, 국민참여 확대를 위한 국민참여펀드도 조성하기로 했다.
둘째로 뉴딜분야 인프라에 일정 비율(예: 50%) 이상 투자하는 공모 인프라 펀드로 수익 안정성을 보강해 뉴딜 인프라펀드를 육성하기로 했다. 공모펀드에 대해서는 투자금액 2억원 내 배당소득에 대해 9% 저율 분리과세를 적용하는 세제혜택을 주기로 했다. 또 퇴직연금 투자대상에 민자사업(선순위) 대상 채권을 포함하도록 제도를 개선하기로 했다. 존속기간이 짧은 5~7년 공모 인프라펀드 개발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후속 투자로 민간 뉴딜펀드 활성화를 유도하기로 했다. 민간 스스로 뉴딜 투자처를 발굴해 자유롭게 펀드를 조성하도록 유인구조를 짰다.
정부는 뉴딜펀드 관련해 향후 민투법, 세법 등 정비와 함께 2021년 예산에 반영하고, 뉴딜분야 상품 개발, 양질의 뉴딜 프로젝트 발굴, 대국민·시장 소통 등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어 은성수닫기

뉴딜 민간펀드 활성화를 위해 디지털, 그린 등 뉴딜지수를 개발하고 뉴딜 ETF(상장지수펀드) 등 지수연계상품 출시를 유도하기로 했다.
민간 금융회사에서도 70조원 규모로 뉴딜 투자에 나서기로 했다. 금융당국은 뉴딜분야 투자를 제약할 수 있는 BIS 비율, RBC 위험계수 등 감독규제 조정을 검토하고, 초대형 IB 뉴딜 분야 신용공여 확대도 허용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이날 회의에는 정부에서 홍남기 부총리, 은성수 위원장 등,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낙연 당대표와 김태년 원내대표 등이 참석했다.
또 정책금융기관에서 이동걸닫기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