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는 20일 제5회 주거복지협의체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주거복지 지난 2년의 성과와 발전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우선 주거안전망 확충 필요성 등을 감안하여 충분한 공공주택이 적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현행 연평균 21만호 공공주택 공급 계획을 2025년까지 확장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장기공공주택 재고는 2022년 200만호 시대를 열고 2025년 240만호까지 추가 확보, 재고율을 OECD 평균 8%를 상회하는 1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아울러 공공임대주택을 하나로 통합하고, 소득수준별 적정 임대료를 부담토록 개선될 전망이다.
또 2025년이 되면 청년 100만, 신혼부부 120만, 고령자·일반 저소득 약 460만 등 약 700만가구가 주거지원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점차 늘어나는 1인가구에 맞춘 주거 및 금융 등의 복지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 밖에도 정부는 전수조사를 통한 수요발굴을 통해 이사비·보증금 지원 등 이주촉진, 자활·돌봄 등 주거상향 프로그램 강화 방안도 함께 마련한다. 쪽방촌⋅노후고시원⋅숙박업소 등 도심내 불량주거지와 낡고 슬럼화된 영구임대주택 단지의 재정비⋅리모델링 방안 구체화에도 나설 계획이다.
지역상생을 위해 공공임대는 디자인혁신·생활SOC 복합설치 등을 통해 지역 주민과 상생, 지자체 주거복지 역량제고와 참여를 위한 인센티브를 강화한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