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증권은 지난 30일 실적 공시를 통해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 984억원, 당기순이익 718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44.5%, 42.1% 증가한 수치다. 이로써 현대차증권은 지난 2018년 최대 실적 갱신 이후 또 다시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현대차증권은 작년 상반기에 이미 직전 사업연도 연간 실적을 뛰어넘는 성과를 보이며 일찍이 사상 최대실적을 예고했다. 하반기에도 꾸준히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가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부문별로는 줄곧 실적을 견인해 오던 투자은행(IB)과 자기자본투자(PI) 사업 부문의 성과가 도드라졌다.
현대차증권 관계자는 “위축된 국내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에서 꾸준히 사업성이 높은 딜을 발굴했다”며 “이와 더불어 해외 신재생에너지, 국내외 물류센터 등 부동산PF 외 대체투자 분야로 발을 넓힌 전략이 유효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증권의 PI 부문 또한 지난해 약 669억원의 순영업수익을 기록하며 든든한 수익원 역할을 해냈다. 이는 전년 대비 51.4% 증가한 수치다.
작년 말 기준 현대차증권의 우발채무 비율은 69.24%로, 업계 평균인 75.4%(작년 6월말 기준)를 크게 밑돌고 있다. 이는 현대차증권의 리스크관리 역량을 대변하는 대목이다.
현대차증권 측은 “안정적인 수익원 확보와 리스크관리 역량을 바탕으로 불확실한 시장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한 결과”라며 “올 한해도 경쟁력을 가진 분야에서 꾸준히 성과를 내는 한편, 철저한 리스크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