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담회에는 신용길닫기






반대로 업계는 금융당국에 해외투자·인슈어테크 규제 완화와 보험료 인상의 당위성, IFRS17 및 K-ICS도입 연기 필요성 등을 설파할 것으로 관측된다.
보험업계는 전체 금융권도 아닌 보험업권의 CEO들을 총선을 앞둔 연말에 굳이 불러 모으는 이유는 ‘보험료 인상 억제’ 제스처밖에 없다는 시각을 보이고 있다.
실손보험은 국민의 70% 가량이 가입했을 정도로 보급률이 높아 ‘제 2의 건강보험’으로까지 불린다. 또 자동차보험은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보험이다. 따라서 금융당국은 이 두 가지 상품의 보험료 변동에 대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그러나 보험업계 역시 ‘더는 버틸 수가 없다’는 입장이다. 올해 상반기 기준 실손보험의 손해율은 129%에 달하는 것으로 기록됐다. 또 자동차보험은 11월까지 누적 손해율이 평균 96%에 달하는 등 한계에 다다른 모습이다.
손해율이란 고객으로부터 받은 보험료 대비 고객에게 지급한 보험금의 비율을 뜻한다. 보험사들은 이 손해율에 사업비율을 더한 ‘합산비율’을 흑자와 적자의 가늠좌로 본다. 합산비율이 100%를 넘으면 보험료로 걷어 들인 수입보다 보험금으로 내준 지출이 더 커 ‘팔수록 손해’인 상품이 된다.
현재 손보업계는 자동차보험에서 약 5~6%대의 인상이, 실손보험에서는 15~20% 가량의 인상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다만 당국과의 조율이 거쳐지면 실손보험에서는 당초 예정보다 적은 폭의 인상이 이뤄질 가능성이 남아있는 상태다.
당국은 보험료 인상에 앞서 보험사들이 자구 노력을 우선하는 것이 맞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