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정의연대와 DLF/DLS피해자비상대책위원회 등은 '우리은행 DLF상품 피해자 고소인단' 접수를 통해 95명 고소인단을 구성해 우리은행장을 서울남부지검에 고소했다. 향후 하나은행장도 관련 서류를 취합한 후 고소를 진행할 예정이다.
10일 만기인 우리은행 DLF 상품 손실률은 73%로 확정됐다. 같은날 만기인 하나은행의 영미 CMS(이자율스와프) 금리 연계 DLF는 60.88% 손실률을 기록했다.
이날 고소장 제출 후 DLF 투자자들과 금융정의연대는 금융감독원 앞에서도 집회를 실시했다.
앞서 금융소비자원도 우리은행장, 하나은행장, 관련 임원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죄, 사문서위조죄 등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윤석헌 금감원장은 지난 8일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이런 문제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경영진 측에도 책임을 묻는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