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이 전국 4년제 대학 재학생 및 졸업생 347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대학생 취업인식도 조사에 따르면, 올해 대졸 신규채용 환경은 작년보다 어렵다(46.1%), 작년과 비슷하다(30.6%), 잘 모르겠다(20.6%), 작년보다 좋다(2.5%)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이 취업하고 싶어 하는 곳은 대기업(23.0%)이 가장 많았다. 이어 공사 등 공기업(19.8%), 중견기업(12.7%), 정부(공무원)(10.9%), 외국계기업(7.7%), 중소기업(6.8%), 금융기관(4.8%) 등의 순이었다. 대기업에 대한 선호도(23.0%)는 지난해(18.7%)보다 4.3%p높게 나타나 지난해(25.0%)보다 5.2%p 낮아진 공기업(19.8%) 대신 선호도 1순위 자리를 차지했다.

대학생들이 희망하는 연봉은 평균 3487만 원으로 지난해 3371만 원에 비해 116만 원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학생(3586만 원)이 여학생(3427만 원)보다 159만 원이 더 많았고, 대기업 취업 희망자(3808만 원)가 중소기업(3074만 원)보다 734만 원 더 많았다.


대학생들은 채용에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직무 이해도 45.1%, 전공 역량 35.9%, 현장실습, 인턴 등 지원분야 관련 경험 31.8%, 일반 직무역량 28.8%, 지원하는 기업에 대한 이해 17.2%, 전공관련 자격증 15.0% 순으로 응답했다.
취업을 위해 대학생들은 얼마나 준비하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100점 만점에 전공역량 함양(67.8점), 지원직무 이해(64.6점), 일반직무역량 함양(63.4점), 지원기업 이해(59.2점) 순으로 준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준비 시 제공받고 싶은 정보를 살펴본 결과, 공공기관, 기업, 각종고시 등 정확한 채용정보라는 응답이 34.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서류나 면접 전형 탈락에 대한 사유(32.9%), 직종별·기업별 채용에 대한 명확한 기준 등 전형방법(32.0%), 합격자의 자기소개서 등 채용 성공사례에 관한 정보(29.1%), 연봉수준, 휴가제도, 업무강도 등 근무여건(27.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이 취업정보를 획득하는 경로로는 민간의 채용정보 제공 사이트 56.7%, 대학의 취업지원센터 41.9%, 인터넷포털 사이트 40.0%, 정부의 채용정보 제공 사이트 23.4%, 기업, 정부 및 관련기관 등의 채용박람회 10.8%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수시채용이 증가하는 트렌드에 대해 전체 채용규모가 감소가 22.4%로 채용감소를 가장 우려하면서도, 인재 선발에 대비한 맞춤형 입사준비 가능 (20.8%), 직무정보를 알고 입사해 직장 적응 용이(17.5%) 등 긍정적 인식도 적지 않게 조사되었다.
블라인드 채용에 대해서는 공정한 인재선발(31.8%), 면접 강화 예상(27.5%), 과도한 스펙관리부담 감소(20.5%) 등 긍정적 평가가 학벌/스펙을 무시한 역차별(10.5%) 같은 부정적 평가보다 높게 나타났다.

오승혁 기자 osh0407@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