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삼성전자 갤럭시 S10 5G 기기의 홍보 포스터/사진=오승혁 기자(자료 편집)
[한국금융신문 오승혁 기자] 5G 가입자 유치 경쟁의 심화 상황을 예의주시하던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가 이동통신 3사 관계자를 긴급 소집한다.
지난 주말 무료 5G폰이 등장하는 등 불법 보조금 지급 의혹이 짙어지자 방통위가 주무부처로서 레드카드를빼 든 것이다. 만일 불법 행위가 사실로 드러난다면 위반행위 대상 판매점에 대해 징계조치도 할 전망이다.
한편 13일 현재 5G 가입자 수 증가세는 빠른 속도를 보인다. 지난 10일 전쟁에 참전한 LG전자 V50 씽큐 모델의 초반 긍정적인 반응까지 더해져 삼성전자 갤럭시 S10 5G 기기와 양분되는 시장의 크기가 지속해서 커지고 있는 형국이다.
이미지 확대보기△LG유플러스 모델이 5G 스마트폰 V50 씽큐를 홍보하고 있다/사진=LG유플러스
V50 씽큐의 경우 출시 다음 날인 11일을 기점으로 개통량이 급증하여 40만 가입자를 웃돌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출시 첫날3만 대 개통에 이어 그간 부진했던 LG전자 스마트폰 판매와는 다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이에 이통3사도 공시지원금 지급액을 늘리는 것으로 공격적인 행보를 보인다.
먼저, LG유플러스는 최상위 요금제 기준으로 S10 5G에 47만5000원, V50 씽큐에57만 원의 공시 지원금을 내 걸었다. 이어 SK텔레콤은 S10 5G 최상위 요금제에 54만6000원, V50 씽큐에 77만3000원을 책정했다. KT도 S10 기준 최상위 프리미엄 요금제에 78만 원, V50 씽큐에 60만 원의 공시 지원금을 책정했다.
기기값이지속해서 상승했다고 해도 이처럼 이통사가 70만 원 상당의 공시지원금을 제시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이 중 5G 무제한 요금제를 가장 먼저 제시했던 KT가 가입자를 급증시키는 사이 거의 같은 요금제를 출시한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의 약진이 이어졌고 SKT가 5G 가입자 왕좌를 차지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