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간 빅딜' 차원에서 국책은행 명예퇴직 활성화에 힘을 싣고 있는 금융당국에 비해 재정 당국은 퇴직금 재원 마련 측면 등에서 미온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국책은행의 임금피크제 대상 직원 수는 매년 증가세다. 추경호닫기추경호기사 모아보기 자유한국당 의원실에 따르면 2년여 뒤인 2022년 임금피크제 직원 비중(2016년 정원 기준)은 산업은행이 18.2%에 달하고, 기업은행과 수출입은행도 각각 12.3%, 7%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국책은행 명예퇴직은 2015년을 기점으로 사실상 전무한 상태다. 감사원의 '방만 경영' 지적으로 퇴직금이 줄면서 임금피크제 진입 인센티브가 훨씬 커졌기 때문이다.
임금이 높은 관리자 비중이 큰 '항아리형' 인력 구조는 인사 적체, 조직 활력 문제로도 이어지고 있다. 산업은행 노조는 지난해 11월 "신규 고용창출은 꿈도 못꾸고 조직의 고령화만 부추기는 상황이 되고 있다"며 상시 명예퇴직 재시행을 주장하는 성명을 내기도 했다.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시중은행 퇴직 흐름과 대조적이다. 시중은행들은 수 년간 디지털화에 맞춰 지점 통폐합과 인력 다이어트를 진행중인 가운데 연말 연초 희망퇴직이 상시적인 관례가 돼가고 있다. 현재 희망퇴직 대상자는 주로 외환위기 이전에 대거 입행한 1960년대생으로 은행들은 특별퇴직금, 재취업 지원금 등 인센티브를 보다 강화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