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NH농협생명 ,미래에셋생명, 신한생명 등 주요 생명보험사들은 희망퇴직을 단행하며 몸집 줄이기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보험사들의 희망퇴직 등 감원 움직임은 올해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해마다 인사철이 되면 정년퇴직이나 희망퇴직은 매년 찾아오는 연례행사였지만, 올해는 IFRS17 준비와 업권 불황 등의 복합적 요인이 겹치며 평년보다 퇴직자 수가 많거나, 아직 정년이 되지 않은 직원들까지 회사를 떠나는 등 인원감축 현상이 가속화되는 모습이다.
일례로 NH농협생명의 올해 정년퇴직자는 1963년생이지만, 아직 정년이 남은 1964년~1965년생들 역시 희망퇴직을 통해 회사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남은 정년만큼 회사 측이 추가적인 퇴직금, 위로금 등을 지급해주면서, 업권 불황 장기화로 불안한 입지를 유지하느니 빨리 회사를 떠나 제 2의 인생을 준비하는 것이 낫다는 여론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같은 감원 한파는 1960년대 초중반 베이비붐 세대와 386세대 등의 은퇴 시기가 맞물림에 따라 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이러한 감원 움직임은 올해만의 문제가 아니라 최소 향후 5년간은 급격하게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며, “다소 분위기가 어수선해지겠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세대교체가 발생할 중요한 시기”라고 부연했다.
여기에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보험설계사 등 특수고용직의 고용보험 가입 의무화까지 시행되면 고용보험료 부담이 급증하는 보험사들이 인력 줄이기에 더욱 열을 올릴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