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금 원가 상승이 자동차 보험료에 제한적으로 반영될 경우 자동차보험 경영성과는 악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의료기관 진료비와 정비업체 수리비 등 자동차보험의 원가에 해당하는 비용의 상승폭이 확대하고 있다. 올 상반기 한방진료비는 2.89%, 외래진료비는 2.50%, 자동차수리비는 1.78% 올랐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12%라는 점을 고려하면 높은 수준이다.
반면 자동차 보험료 지수는 1.29% 하락했다. 대형 손해보험사들의 경쟁에 따른 것이다. 이와 맞물려 상반기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1.7%로, 손보업계가 책정하고 있는 적정 손해율 수준인 77~78%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본격적인 무더위와 태풍 등이 시작된 7~9월 손해율이 반영되면 해당 수치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실제로 이탈리아의 경우 1984년부터 자동차보험 합산비율이 110%를 초과했는데, 이는 곧 80년대 후반 손보사들의 파산으로 이어졌고, 자동차보험료 역시 향후 더욱 올랐다.
전 연구위원은 "원가상승 요인이 보험료에 적시에 반영되지 못할 경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안정될 수 있지만, 보험사의 재무건전성 악화와 소비자와의 갈등 확대 등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경고하며, "보험료 인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상·보상제도 개선으로 보험금 누수를 억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