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정선은 기자] 자금세탁방지(AML)에 대한 국제적인 검사·제재가 엄중해지는 가운데
이대훈 닫기 이대훈 기사 모아보기 NH농협은행장과
김도진 닫기 김도진 기사 모아보기 IBK기업은행장이 직접 미국 감독당국을 만나러 출장길에 오른다.
최근 은행들이 남북경협 관련 사업을 검토하는 데 대해 미국 재무부에서 대북제재 준수를 상기한 일도 있었던 만큼 더욱 긴장감있게 대응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대훈 NH농협은행장은 내달 중순께 미국 뉴욕을 찾아 감독당국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와 뉴욕 금융감독청(DFS) 관계자를 만날 예정이다.
이대훈 행장은 현지 감독당국에 그동안의 자금세탁방지 의무 개선 조치를 설명할 방침이다. 앞서 NH농협은행 뉴욕지점은 지난해 12월 DFS로부터 자금세탁방지 시스템과 내부 통제가 미흡하다는 이유로 1100만 달러(한화 약 120억원)에 이르는 과태료를 부과받은 바 있다.
이대훈 NH농협은행장 / 사진= NH농협은행 은행권은 농협 사례 이후 자금세탁방지에 대해 경각심을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자칫 건전성에 치명적인 타격을 주고 과태료 폭탄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 인력을 보강하고 본점 차원의 물적·인적 지원과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김도진 IBK기업은행장 / 사진= IBK기업은행 김도진 IBK기업은행장도 오는 12월 미국 감독당국과 만나기 위해 뉴욕 출장길에 오른다.
IBK기업은행은 올 7월 뉴욕 DFS와 뉴욕 연방준비은행으로부터 준법감시시스템 정기 감사를 앞두고 인력과 시스템을 재정비했다. 앞서 2016년 자금세탁방지 시스템 미비로 개선권고를 받기도 한 만큼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IBK기업은행은 최근 '국외지점 통합 자금세탁방지 시스템 컨설팅'에 착수키도 했다. 이미 별도의 컨설팅을 받고 있는 뉴욕 지점을 제외한 해외지점과 현지법인 대상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자금세탁방지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