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하반기부터 문재인 정부는 남북정상회담은 물론, 한미정상회담과 UN총회를 비롯한 굵직한 외교 일정이 산적해있다. 이에 따라 문재인 정부가 어떠한 ‘중재 외교’를 보여줄 지에 대해 국내는 물론 세계의 이목까지 집중돼있는 상태다.
17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최근 제39회 국무회의와 남북정상회담 원로자문단 오찬간담회 등 계기에 이를 위한 구상을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북미 양 정상간 통 큰 구상과 대담한 결단이 필요하다”며 “북한은 핵 폐기를 실행해야 하고, 미국은 상응 조치로 여건을 갖춰줘야 한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평양 회담에서도 문 대통령은 이와 같은 기본 방향을 견지한 채 보다 구체적인 중재안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회담에서 김정은 위원장과의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이달 말 UN 총회에서 트럼프닫기

한편 이에 앞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5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한 대북 특사단과의 면담을 통해 ‘비핵화 시한’을 처음으로 언급했던 바 있다. 당시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내에 북미 관계를 개선해 나가면서 비핵화를 실현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가 2021년 1월까지라는 점을 고려하면 늦어도 2020년까지는 비핵화를 실현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이 비핵화에 대한 구체적 시점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근 중국의 개입 등으로 북미협상이 암초를 만난 상황에서 다시 한 번 비핵화 의지가 강조된 것은 큰 의의를 지닌다는 평이 나온다. 아울러 특사단은 북한의 체제 안전이 보장되고, 종전선언이 시행되어도 주한미군 철수와는 무관할 것이라는 입장까지 확인한 바 있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