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DGB금융 내 하이투증 인수 사업팀은 내달 중순 자회사 편입승인 심사 신청을 위해 금감원 실무진과 접촉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DGB금융 관계자는 "주식매매계약 종료 시점이 9월 말이어서 아주 서두를 단계는 아니라고 본다"며 "7월 중 금감원 실무진을 만나 서류를 제출하고 설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당시 당국은 사업계획 부문을 중점 보완해달라고 DGB금융에 요청했다. 사업계획서는 선물・자산운용・증권 등 3개의 하이투자증권 관련 사업계획서와 DGB금융그룹 전체 계열사의 사업 영향을 추정한 금융지주사업계획서로 이뤄진다. 지주사계획서에는 재무, 영업 등 향후 5개년 사업계획에 대한 내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내용이 방대하다.
당국은 사업계획서에 '구체적인 재무 추정근거'와 '영업전략' 부분을 보완하라고 주문했다. DGB금융이 초기에 제출한 계획서에는 자회사 편입시에 건전성 등 자산에 어떤 영향이 가해지게 될지 구체적인 내용이 부족했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첫 번째 제출된 사업계획서는 내용이 허술했다"고 전했다.
김태오 회장 취임 이후 하이투증 인수 준비 사업팀 인력이 보강되거나 하는 변화는 없다. 다만, 김 회장이 '비은행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한 신성장 동력 창출'을 선결 과제로 제시한 만큼 해당 사업부가 사업계획서 보완에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다는 전언이다.
금감원은 박인규닫기

당시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대구은행 수사 결과 조직적인 비리인 게 확실시되면 자회사 편입 승인이 어렵다"면서 "추후 국정감사에서 왜 리스키 한 지주사에 승인을 해줬느냐는 비판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