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22일 오전 고형권 제1차관 주재로 한은, 금융위, 금감원, 국금센터 등 관계기관과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미국 연준(Fed)의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와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아직 물가상승 압력이 높지 않다고 평가하고 올해 금리 인상 전망을 3회로 유지했지만, 최근 몇 달간 경기전망이 강화됐다며 내년 금리 인상 전망은 2회에서 3회로 상향했다.
FOMC의 기준금리 인상 이후 뉴욕시장 주가는 약보합세로 마감했다. 미국 국채금리가 하락하고 달러화는 약세를 보였다.
정부는 이번 FOMC 결과를 감안할 때 향후 미국의 급격한 금리인상에 대한 시장 우려는 다소 완화될 것으로 관측했다.
다만 한미 기준금리가 2007년 이후 약 10년 반만에 역전되면서 제기되는 외국인 자금의 급격한 자본 유출 가능성은 크지 않게 예상했다.
정부는 국내 시중금리 상승에 대비해 가계부채 총량을 신 DTI(총부채상환비율) 도입으로 관리하고, 중소기업 정책금융 확대 등에 역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정부는 미국 등 주요국 경제상황과 통화정책 기조 변화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고, 최근의 보호무역주의 움직임과 4~5월 개최 예정인 남북·북미 정상회담 등 이벤트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예의주시 하기로 했다.
정부 측은 "만약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경우에는 사전에 마련한 대응계획에 따라 적절한 시장안정 조치를 적기에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