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금융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가 16일 확정한 최종후보군(숏리스트) 3명을 살펴보면, 먼저 내부 후보는 하나·외환은행 통합 등을 이루고 3연임에 도전한 김정태 회장(1952년생) 1명이다.
'내부 1명, 외부 2명'의 후보군을 공표한 것은 회추위의 고민이 나타난 대목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회추위는 15~16일 압축했던 16명의 후보군 중 9명이 고사하면서 7명만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금융감독원이 지난 12일 경영자(CEO) 리스크 가능성을 감안해 회장 선임 절차를 연기할 것을 권고한 뒤 이뤄진 일정이다.
윤종남 하나금융지주 회추위원장은 "감독당국이 권고한 대로 객관적이고 투명한 회추위 진행을 위해 '경영승계계획 및 후보추천절차'를 개정했고 이에 따라 공정한 유효경쟁을 진행해 왔다”며 “회추위 일정 역시 감독당국의 권고를 받아들여 연기를 검토했으나 이미 개인별 통보가 완료된 상태로 변경이 어려워 예정대로 진행했다"고 말했다.
김정태 회장은 서울은행으로 입행했으며 하나은행의 창립 멤버다. 이후 하나금융 부사장, 하나대투증권 사장, 하나은행장을 역임했다. 2012년에 하나금융그룹 회장에 올라 2015년 연임했다.
김정태 회장은 임기 중 하나·외환은행 조기 통합을 이끌고, 합병 시너지로 지난해 당기 순이익도 2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임기동안 하나금융 주가도 대폭 상승했다. 국내 금융지주에서 3연임 성공 사례로는 라응찬 전 신한금융 회장, 김승유 전 하나금융 회장 정도다.
하나금융 회추위는 오는 22일 최종 후보군에 대한 프리젠테이션(PT), 심층면접 및 질의 응답을 거쳐 차기 회장 후보를 확정할 방침이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