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PT-4o에 한국어와 한국 사회·문화적 맥락을 정교하게 접목한 협업형 모델로 국내 AI 생태계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겠다는 포부다.
KT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품질 한국 특화 데이터를 대규모로 확보했다. 또 마이크로소프트와 GPT-4o를 한국 사회에 최적화된 모델로 발전시켰다.
SOTA K는 한국적 AI 4대 핵심 철학인 ▲데이터 주권 보호 ▲한국 문화 이해 ▲모델 선택권 보장 ▲안전하고 책임감 있는 AI를 모두 구현한 모델이다.
한국어 경어법·방언, 법률·금융·역사 등 전문 용어까지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한국사, 한국어, 한국 법령 등 고난이도 한국적 지식을 요구하는 대한민국 공무원 시험과 귀화 시험에서 GPT-4o 모델을 능가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실제 고객 사례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메리츠화재에서는 보험 업계에 특화된 약관 해석이나 EBS 초중고 난이도별 맞춤형 학습, 연세의료원 영어·한국어 혼합 의료 데이터 환자 설명, 한국전력공사 질의 답변 등에서 활용 가능성이 확인됐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KT는 국내에 존재하는 클라우드 리전에서 운영하며 자체 개발한 벡터 모델 기반 한국적 검색증강생성(RAG) 기술과 결합해 기업별 맞춤형 지식 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고객사는 고유 데이터를 활용해 더욱 정확하고 특화된 AI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윤경아 KT 에이전틱 AI 랩장(상무)은 “SOTA K는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과 한국적 AI 특화를 동시에 실현한 혁신적 모델로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협업을 통해 축적한 기술적 노하우는 향후 KT의 다양한 AI 모델 개발에 확산 적용될 것”이라며 “국내 AI 생태계 활성화는 물론 공공과 민간 전반에서 AI를 활용한 혁신을 주도하며 국가 AI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채윤 한국금융신문 기자 chaeyu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