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5.09.15(월)

정진완號 우리은행, 기업 컨설팅·혁신금융 패키지로 강화 [은행권 생산적금융 전략]

기사입력 : 2025-09-15 05:00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ad

퇴직 금융전문가 중심 기업 컨설팅
첨단·벤처·중소기업 금융지원 ↑

▲ 정진완 우리은행장
▲ 정진완 우리은행장
[한국금융신문 우한나 기자] 정진완닫기정진완기사 모아보기 우리은행장이 펼치는 생산적금융 전략은 여신지원그룹·기업그룹·IB그룹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정부의 기조에 따라 단순 담보·부동산 중심 대출에서 벗어나 기업·산업·사회 전반의 성장과 고용 창출로 이어지는 자금 공급으로 전략을 수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은행은 기업금융 컨설팅과 여신 지원을 강화하고 퇴직 금융전문가 활용, 중견기업 전용 프로그램, 혁신산업 수출입 패키지 등 다양한 모델을 통해 생산적금융을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생산적금융 이끄는 핵심 그룹
생산적금융은 전사적으로 추진하지만, 그중에서도 여신지원그룹·기업그룹·IB그룹은 실물경제에 자금을 직접 공급하는 핵심 조직으로 꼽힌다.

여신지원그룹은 송용섭 부행장이 이끈다. 1966년생인 송 부행장은 우리은행 야탑역금융센터 금융센터장, 엑스포금융센터 본부장, 대전충청남부영업본부 영업본부장 등을 거친 기업금융 전문가다.

여신지원그룹은 기업대출이 부동산 담보로만 흐르지 않고 생산적 투자로 이어지도록 방향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ESG여신, 기술금융, 중소·중견기업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신성장·혁신 기업에 자금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도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 과제다.

기업그룹은 배연수 부행장이 맡고 있다. 1970년생인 그는 토평지점 지점장, 중소기업고객부 부장, 중앙영업본부 영업본부장을 거쳤다. 기업그룹은 중소기업부터 대기업까지 기업 고객 전담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 산업별·규모별 맞춤 전략을 지원하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방 거점 기업금융 지원에도 나서고 있다.

IB그룹 수장은 이명수 부행장이다. 1968년생인 그는 인사부 본부장, 동부영업본부 영업본부장, 경영지원그룹 본부장, HR그룹 집행부행장 등을 역임했다. IB그룹은 투자금융(IB)과 자본시장 기반 기업금융 담당한다. 기업대출을 넘어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인수합병(M&A), 인프라 투자 등으로 실물경제에 직접 자금을 공급한다. 아울러 벤처·스타트업 지분투자, 녹색·전환금융 등 새로운 생산적금융 수단도 확대하고 있다.

‘강북BIZ어드바이저센터’ 신설
우리은행은 생산적금융 강화를 위해 퇴직 금융전문가들의 현장 경험을 기업 지원에 접목한다. 이를 위해 최근 ‘강북BIZ어드바이저센터’를 신설했다. 기업영업을 전담하는 이 센터는 우리은행뿐 아니라 시중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등 금융기관에서 다년간 기업금융 경험을 쌓은 인력들로 구성됐다.

센터는 우리은행의 기업금융 역량을 기반으로 ▲예금 ▲대출 ▲외환 ▲파생상품 ▲퇴직연금 등 중소·중견기업 맞춤형 컨설팅과 종합 여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순 거래 창구가 아닌 기업의 성장 전략을 함께 설계하는 동반자 역할을 목표로 한다.

우리은행은 이번 개점을 계기로 퇴직 인력 활용 모델을 정착시켜 ▲금융 노하우의 사회 환원 ▲중장년층 일자리 창출 ▲중소·중견기업 생산적 금융지원 등 사회적 가치 실현에도 나선다는 방침이다.

중견기업 성장 뒷받침
중견기업 전용 금융지원 프로그램 ‘Rising Leaders 300’도 운영하고 있다.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우량·선도 중견기업을 발굴해 여신한도 4조 원, 금융비용 600억 원을 지원하는 중장기 프로젝트다. 1기부터 5기까지 총 171개 기업에 1조6000억 원 규모의 우대 금융을 제공했다.

이번 6기 모집에서 선정되는 기업에는 최대 300억 원의 여신지원과 초년도 기준 최대 1.0% 금리 우대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수출입금융 솔루션 제공 ▲ESG대응 컨설팅 지원 ▲디지털 전환 컨설팅 등 비금융 혜택도 포함된다. 이를 통해 기업의 성장동력 확충과 경쟁력 제고를 뒷받침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이번 6기 모집에서 40사 이상의 우량·선도 중견기업을 선정할 계획”이라며 “산업통상자원부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선정된 우수 중견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생산적 금융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정진완號 우리은행, 기업 컨설팅·혁신금융 패키지로 강화 [은행권 생산적금융 전략]이미지 확대보기
반도체·AI·로봇 혁신산업 지원
우리은행은 혁신성장기업과 우량 수출입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우리 성장산업 수출입 패키지’를 출시했다. 자금이 단순 금융거래에 머무르지 않고 국가 전략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지도록 설계된 생산적금융 상품이다.

이번 상품은 수출입기업에 경쟁력 있는 금리와 통합 한도를 제공한다. 수입 기업에는 수입신용장 개설을, 수출기업에는 수출환어음매입(OA·DA·DP)등 다양한 거래에 통합 한도를 적용해 자금 운용의 유연성을 높였다.

대상은 최근 6개월 이내 우리은행과 수출입금융 거래가 없었던 신규 고객 중 ▲반도체 ▲인공지능(AI) ▲제조로봇 등 혁신성장 품목을 생산하는 기업 또는 직전년도 기준 통관 수출입 실적이 1000만 달러 이상인 기업이다.

혁신성장 품목은 한국신용정보원의 혁신성장 인텔리전스 시스템(IGS)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정부 정책과 산업 트렌드를 반영한 240개 품목이 포함돼 있다.

생산적금융 확산 추진
우리은행은 기업대출이 부동산 담보 중심에 머무르지 않고 첨단산업·중소·중견기업 등 실물경제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생산적 금융 전략을 전방위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우선 강북BIZ어드바이저센터를 기반으로 은행 및 금융권 퇴직 고위 인력을 중소·중견기업 지원에 투입한다. 기업금융 베테랑들의 노하우를 활용해 현장 중심 금융 컨설팅을 제공하는 동시에 중장년층 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 가치 실현도 병행할 예정이다.

중견기업 금융지원도 확대한다. 우리은행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Rising Leaders 300’ 프로젝트를 추진,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우량·선도 중견기업에 최대 4조 원 규모 여신한도와 금리 우대, 수출입 금융 및 ESG 컨설팅을 제공한다. 이미 1~5기까지 171개 기업에 1조6000억 원을 지원한 데 이어 6기 모집에서도 40개사 이상을 새로 선정할 계획이다.

아울러 금융당국과의 협력을 통해 생산적금융 체계 전환에도 적극 동참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이 담보·부동산 위주의 영업에서 첨단산업·벤처기업·소상공인 등으로 자금 흐름을 바꾸도록 독려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은행도 제도 변화에 발맞춘 실행 전략을 마련 중이다.

우한나 한국금융신문 기자 hanna@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issue

우한나 기자기사 더보기

금융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