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과 이찬진닫기

임명권자 금융위원장 취임 아직…차기 신보 이사장 안갯속
최원목닫기
신용보증기금은 지난 6월부터 새 수장을 맞이하기 위한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 조직 작업에 착수했지만, 현재까지 후보 공모와 관련한 이렇다 할 하마평조차 돌고 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은 신용보증기금 임원추천위원회의 추천을 받아 금융위원장이 제청한 후 대통령 임명하는 식으로 선임된다.
현재 이재명정부의 초대 금융위원장으로는 이억원 후보자가 지명됐지만, 국회 청문회는 다음 달에나 진행된다. 청문회 절차를 거친 후에야 정식으로 취임이 가능한 금융위원장 특성상, 금융위원장 제청이 필요한 국책은행 및 금융공기업들의 수장 인사도 당분간 혼선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21명 중 13명 관 출신…정책연계성 가장 큰 이유
신용보증기금은 1976년 닻을 올린 이후 현 이사장인 최원목 이사장까지 포함해 총 24대에 걸친 이사장들을 맞이했다.
주목할 부분은 이들 21명 중 과반이 넘는 13명이 기획재정부(구 재정경제부) 및 재무부 등을 거친 관 출신 인사라는 점이다. 초대였던 정재철 전 이사장은 재무부 기획관리실장을, 2대인 송병순 전 이사장은 재무부 관세국장을, 3대 배도 전 이사장은 국세청 차장을 지냈다. 2000년대로 넘어와서도 이종성·배영식·김규복 전 이사장 등이 모두 재경부 출신이었다. 윤대희 전 이사장도 재경부 기획관리실장을 지냈고, 최원목 이사장도 기획재정부 기획조정실장을 지냈다.
물론 민간 출신 전문가들도 있었다. 4대 이사장이었던 김상찬 전 이사장은 국민은행, 서근우 전 이사장은 하나은행, 황록 전 이사장은 우리금융 출신이었다. 또 3연임에 성공한 안택수 전 이사장은 국회의원 출신으로, 국회 재경위 상임위원장을 지낸 이력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신보 이사장은 관료 출신 전문가들이 맡아왔다. 이는 신보가 지닌 업무 성격과 무관하지 않은데, 신보는 단순히 보증만 하는 기관이 아니라, 정부의 중소기업·벤처기업 지원정책을 집행하는 준정책금융기관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 정책 방향과 긴밀하게 호흡해야 하고, 관료 출신 이사장이 온다면 정책 연계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 전직 관료라는 배경이 정부 예산·정책 연계, 제도 도입 속도, 해외·대외 협력에서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도록 돕는 매개 역할을 한다는 분석도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 2023년 신보는 국내 최초로 G-ABS(녹색자산유동화증권) 발행에 성공한 바 있다. 제도 설계 단계에서 금융위와 기재부 협의가 필요했는데, 관료 출신이었던 최원목 이사장의 기존 인맥과 정책 이해도를 바탕으로 승인 절차를 신속히 이끌어낼 수 있었던 것으로 평가받는다.
실용주의를 표방하는 이재명 정부의 성격을 고려할 때, 금융시장 출신 전문가 혹은 조직 사정에 밝은 내부출신 인사 발탁 가능성도 없지 않다. 지난 2022년 당시 권장섭 전 신용보증기금 전무이사가 하마평에 오르며 첫 내부출신 기관장이라는 기록을 세울 수 있었으나, 최원목 이사장이 내정되며 무위로 돌아갔던 바 있다.
장호성 한국금융신문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