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정부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달 21일부터 지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연 매출액 30억 이하인 소상공인 사업장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사용이 제한되는 업종은 유통 대기업 계열사로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 백화점, 면세점, 이커머스 및 배달앱이다.
백화점의 경우 롯데와 현대, 신세계, 갤러리아, AK플라자, NC백화점이 제외됐고, 쿠팡과 같은 이커머스도 제한 대상에 포함됐다. 이케아와 샤넬, 애플스토어 등과 같은 대형 외국계 매장과 직영 100%로 운영되는 스타벅스에서도 사용 불가다. 롯데하이마트와 전자랜드, 삼성디지털프라자, LG전자베스트샵, 일렉트로마트와 같은 대형전자판매점 또한 사용 제한 업종이다.
그렇다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쓸 수 있는 곳은 어딜까?
일부 다이소 매장에서도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다이소 전체 1576개 매장 중에서 483개가 가맹점으로 운영되고 있다. 비율은 30.6% 정도다. 다이소 가맹점은 수도권이 138개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경북 44개, 전남과 경남이 각각 41개로 뒤를 이었다.
다만 일반 시민들이 직영점과 가맹점을 구분하기 힘든 만큼 정부는 별도의 ‘소비쿠폰’ 스티커로 안내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공공배달앱만 소비쿠폰 대상이 되는 게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지만 배달의민족과 요기요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소비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유통업계에서는 소비처가 제한되는 것과 별개로 소비심리 회복에 따른 내수 진작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소비심리 회복으로 시장이 활성화 되는 게 중요하다”며 “그동안 침체돼 있던 유통업계가 소비쿠폰으로 다시 되살아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만 소비쿠폰은 소상공인 지원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급하는 것으로 사용 기한이 제한돼 있다. 신용·체크카드에 충전된 민생회복 소비쿠폰, 선불카드, 지역사랑 상품권은 오는 11월 30일까지 쓸 수 있고, 사용 못 한 소비쿠폰은 소멸된다.
박슬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seulg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