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통계청 주택총조사 자료(2023년 기준)에 따르면, 전국 주택 총 1954만 6299가구 중 준공 20년 이상이 지난 노후주택이 1049만 5281가구로 전체의 53.69%로 조사됐다. 전국 주택 2곳 중 1곳 이상은 노후주택인 셈이다. 노후주택 비율은 2015년 43.8%, 2016년 45.7%, 2017년 46.5%, 2018년 47.7%, 2019년 48.0%, 2020년 49.1%, 2021년 50.2%, 2022년 52.2%로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통상 노후주택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는 새 아파트 청약 성적이 우수한 편이다. 층간소음, 주차난, 단열 문제 등 오래된 주택에서 불편함을 겪은 이들 대부분이 갈아타기 수요로 꾸준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1월 전북 전주에서 공급된 ‘더샵 라비온드’가 지방 분양 단지 중 올해 처음으로 2만건이 넘는 1순위 청약통장이 몰리며 완판에 성공했다. 이 단지가 위치한 전주시는 총 24만 7429가구 중 20년 이상 노후주택이 14만 9182가구(2023년 기준)로, 노후주택 비율이 60.3%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양호한 입지에 새로 들어서는 브랜드 대단지 아파트에 대한 갈아타기 수요가 집중됐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가운데 노후주택 비율이 높은 지역에 모처럼 새 아파트가 분양을 앞두고 있어 업계 및 수요자들의 높은 관심이 예고된다.
먼저 노후주택 비율이 68.3%로 도내에서도 높은 편에 속하는 강원도 삼척시에는 대한토지신탁이 ‘트리븐 삼척’을 7월 공급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1층~지상 29층, 총 4개 동 규모로 구성되며, 전용면적 84㎡(369가구), 99㎡(49가구) 총 418가구의 중대형 아파트로 조성된다.
54.6%의 노후주택 비율을 보이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서는 대우건설이 ‘서면 써밋 더뉴’ 아파트 919가구를 8월 공급할 예정이다. 서면 내 노른자위 땅에 들어서는 하이엔드 주상복합 단지다. 이 외 노후주택이 71.5%에 달하는 경기도 군포시에서도 ‘대야미역 금강펜테리움 레이크포레’가 7월 공급될 예정이다. 전용면적 61~84㎡ 총 502가구 규모다. 분양가상한제 적용 단지로 합리적인 분양가에 공급될 예정이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