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의원은 총 71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 29개의 청년정책 사업들이 지역 청년들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왔는지 구체적인 성과 검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보완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온라인 접수나 주민센터 방문에 한정된 의견 수렴 방식은 디지털 소외계층과 바쁜 주민의 참여를 제약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찾아가는 설명회와 이동 접수 창구 확대를 제안했다.
김 의원은 “용산구청 내 부서 밀집과 공간 활용 차이로 인해 직원들의 체감 근무 환경에 심각한 차이가 발생하고 있고 3곳에 불과한 휴게실은 전체 직원 1370여 명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며, 실질적인 공용 회복 공간 마련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김형원 의원은 “공간은 행정의 철학을 비추는 거울이다. 직원이 존중받는 환경에서 일해야 더 나은 구정서비스가 가능하다”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하며 구정질문을 마무리했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