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다수인 8곳에 대해 기관경고 중징계가 내려졌고, 1곳은 기관주의를 받았다.
금융위원회는 19일 제3차 정례회의에서 하나증권, KB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SK증권, 교보증권, 유진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유안타증권 등 9개 증권사 채권형 랩·신탁 운용 관련 위법사항에 대한 기관 제재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하나증권, KB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교보증권, 유진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유안타증권 등 8개사에 대해서는 기관경고가 의결됐다.
SK증권에 대해서는 기관주의가 의결됐다.
이로써 2023년 말 금융감독원 검사 등 2년 여 만에 채권형 랩·신탁 관련 제재가 확정됐다.
다만, 2022년 하반기 단기 자본시장 악화와 신용경색 등 시장 상황의 특수성, 증권업계의 시장 안정화 기여 및 리스크 관리 강화 등 재발방지 노력, 과태료 부과 규모 등을 감안했다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또 금감원 검사 이전에 관련 법규 등에 따라 실시한 자체 내부감사, 손실 고객에 대한 사적화해 등 선제적 사후수습 노력도 함께 고려했다고 덧붙였다.
금융위는 "금번 위반행위는 실적배당상품인 랩·신탁을 확정금리형 상품처럼 판매·운용하고 환매 시 원금 및 수익을 보장하는 잘못된 관행에서 비롯된 것으로 위법행위의 근절을 위해서는 관련 임직원들의 준법의식 확립뿐만 아니라 리스크·준법·감사 등 관리부서에 의한 감시와 견제가 강화될 수 있도록 CEO(최고경영자)를 포함한 회사의 전사적인 내부통제 제고 노력이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
금융당국은 "향후 동일 또는 유사 위법·부당행위가 재발할 경우, 심의시 가중 요인으로 보아 엄정 제재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