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롯데건설 직원들이 부산 롯데타워 현장에서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를 활용한 코팅제를 시공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롯데건설
[한국금융신문 한상현 기자] 롯데건설이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정부 연구과제에 참여해 직접 시공 현장에 시범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
롯데건설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연구과제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 및 건설용 2차 제품 제조기술 개발'에 공동연구사로 참여했다. 이 기술은 미국과 캐나다에서 먼저 개발됐다. 롯데건설은 기술 국산화를 목표로 연구를 진행했다.
시멘트는 석회석을 1300도 이상에서 가열해 만든다. 이 과정에서 많은 탄소가 배출된다. 롯데건설 기술은 가열 온도를 200도 낮추고 석회석 사용을 30% 줄인다. 탄소 배출량이 크게 줄어든다.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는 물이 아닌 이산화탄소와 반응해 굳는다. 제조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를 자체적으로 흡수해 배출을 더 줄인다. 이 기술로 만든 염해방지 코팅제, 보도블록, 벽돌은 일반 제품보다 탄소 배출을 최대 70% 줄인다. 내구성도 뛰어나다. 지난해 12월 부산 롯데타워 현장에 염해방지 코팅제를 사용했다. 오산 세마 트라움 현장에는 보도블록을 시공했다.
롯데건설 기술연구원 관계자는 "친환경 신소재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경쟁력 있는 제품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롯데건설은 지난해 11월 '이산화탄소 주입 바닥용 모르타르' 기술도 개발해 현장에 적용했다. 산업공정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모르타르((시멘트와 첨가제 등을 혼합해 둔 건자재) 배합 과정에서 주입하는 방식이다. 시멘트 사용량이 줄고 탄소 배출 감소 효과를 낸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