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업이나 해외사업 등으로 활로를 찾을 수 있는 대형 건설사들과는 달리, 중견 건설사들은 국내 주택사업 비중이 크다. 때문에 작금의 원자재값·인건비 인상으로 인한 공사비 증가와 PF 등 당국의 대출압박, 그리고 분양경기 침체로 인한 미분양 급증이라는 삼중고를 이기기 어렵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입주자 모집 공고 자체가 취소되면서 기존 청약도 무효로 돌아가게 됐지만, 관련법에 따라 청약통장은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돼 다른 단지에 사용할 수 있다.
최근 지방은 물론 수도권인 경기나 인천에서 분양에 나선 중견사들의 브랜드 단지들은 연이어 청약 흥행에서 고배를 마시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가 충남 논산에서 선보인 ‘트리븐 논산’, 금성백조가 청양에서 선보인 ‘청양 금성백조 예미지 퍼스트클래스’, 라온건설이 경기에서 선보인 ‘덕소역 라온프라이빗 리버포레’ 등이 모두 순위 내 마감에 실패했다. 대형 건설사의 브랜드 단지들도 고전하기는 마찬가지지만, 이들은 그나마 최근 해외 신사업으로 눈을 돌리며 새 캐시카우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지방은 1만4802가구로 지난 10월(1만4464가구) 대비 2.3% 증가했다. 대구가 한달 새 233가구 늘어난 1812가구를 기록하며 전국에서 가장 많이 증가했고, 뒤를 이어 경북(123가구 증가), 충북(81가구 증가) 순으로 늘었다.
지방 건설업계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PF 자금 끌어오는 것 자체가 힘들어서 착공도 힘든 마당에 분양까지 안 되다 보니 임직원들이 의욕 자체를 잃어버리는 경우도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고 알고 있다”며, “그렇다고 미분양을 받아줄 수요자들도 없다 보니 건설업계와 수요층 모두가 공멸하는 최악의 상황으로 흘러가고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정부는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우선 공공 공사비를 급등한 물가 수준에 맞춰 인상하고 민간 사업장에 대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지원책을 제시한 상태다. 1989년부터 30여년 간 고정돼 있던 일반관리비 상한 요율도 1~2%가량 상한 조정되는 방안도 마련됐다.
장호성 한국금융신문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